ETRI-Knowledge Sharing Plaform

KOREAN
연구보고서 검색
Type Funding Org. Research Org.
Year ~ Keyword

Detail

수도권 지역산업 기반 ICT융합기술 고도화 지원사업
Download 458 time
Participants
홍선미, 이문영, 김현우, 강민지, 최지혁, 윤성재, 임혁진, 조한진, 배민호, 김도훈, 이상은, 김현진, 김원영, 전승협, 박성천, 이성희, 이동수, 이규성, 유호영, 홍태철, 오혜령, 유근태, 정승호, 조경국, 채원석, 김원종, 노예철, 김준성, 김성운
Published
202401
Type
Annual Report
Keyword
스마트 제조, 감성인지, 디지털 자산보호, 디지털치료제, 프라이버시 보존 기계학습, Smart Manufacture, Emotional Recognition, Digital Asset Protection, Digital Therapeutics, Privacy Preserving Machine Learning
KSP Keywords
ICT convergence, Metropolitan area
Funding Org.
한국전자통신연구원
Research Org.
한국전자통신연구원
DOI
10.22648/ETRI.2024.R.000001 
Project Code
23ZT1100, ICT convergence technology support and development based on local industry in the metropolitan area, Roh Yea Chul
Abstract
□ 과제수행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ㅇ 지역사회문제 해결 및 전략산업 경쟁력 강화 지원을 위한 기술고도화, 산업체 맞춤형 성과확산을 통한 중소기업 기술사업화 지원

◼ 전체 내용
ㅇ ETRI 인공지능 공유 플랫폼 개발
ㅇ SW 가상화 플랫폼기반 AI가속기술 개발
ㅇ AI기술 전문엔지니어 양성 교육

◼ 1단계
❏ 목표
ㅇ 개방형 인공지능 플랫폼 구축과 ETRI 기술체험 지원을 통한 지역산업경쟁력 강화
❏ 내용
ㅇ 인공지능 활용 제조혁신 통합솔루션
ㅇ 감성인지 기반 비대면 서비스 실용화 기술
ㅇ SoC 기반 디지털 자산 보호 실용화 기술
ㅇ 인지행동 치료를 위한 AI 치료사 기술 개발

◼ n단계
❏ 목표
ㅇ 인공지능 활용 제조혁신 통합 솔루션 개발로 지역 중소 제조기업의 스마트공장 수준 향상
ㅇ 개인화 기반의 감정·표정 인식 응용 서비스(비대면 교육, 상담 서비스 등)에 적용할 수 있는 감성인지 솔루션 제공
ㅇ 가상환경에서 디지털자산의 물리적 복제 불가능한 유일성을 담보하고 민감정보의 안전한 활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PPML 기술 확보
ㅇ 포스트코로나 시대을 위한 언텍트 서비스 및 치매 예방 프로그램 제공 및 AI비전 기술을 활용한 인지 중재치료 솔루션 제공
❏ 내용
ㅇ (1세세부) 인공지능 활용 제조혁신 통합솔루션 요소기술 개발
ㅇ (2세세부) 멀티 모달리티(시각, 청각, 의미) 기반 감성인지 기술개발
ㅇ (3세세부) FPGA수준 가상 SoC 개발과 민감데이터 활용 ML 모델 실증 및 고도화
ㅇ (4세세부) CBT를 위한 요소기술 개발 및 고도화

◼ 당해 연도
❏ 목표
ㅇ (1세세부) 인공지능 활용 제조혁신 통합솔루션 요소기술 개발
ㅇ (2세세부) 멀티 모달리티(시각, 청각, 의미) 기반 감성인지 기술개발
ㅇ (3세세부) FPGA수준 가상 SoC 개발과 민감데이터 활용 ML 모델 실증 및 고도화
ㅇ (4세세부) CBT를 위한 요소기술 개발 및 고도화
❏ 내용
ㅇ (1세세부) 인공지능 활용 제조혁신 통합솔루션 요소기술 개발
• 회귀분석, 분류, 예측 알고리즘 비교 분석 기술 추가 개발 및 성능 개선
• 예측 (forecasting) 알고리즘 분석 기술 개발
ㅇ (2세세부) 멀티 모달리티(시각, 청각, 의미) 기반 감성인지 기술개발
• 멀티 모달리티(시각, 청각, 의미) 통합 감성인지 기술 개발
• 감성인지 고도화를 위한 인물중심 상황인지 기술개발
ㅇ (3세세부) FPGA수준 가상 SoC 개발과 민감데이터 활용 ML 모델 실증 및 고도화
• 디지털 자산 보호를 위한 FPGA수준 고신뢰 SoC 개발
• 민감데이터활용 ML 모델 실증 및 성능 고도화
ㅇ (4세세부) CBT를 위한 요소기술 개발 및 고도화
• CBT 제공을 위한 AI 요소기술 개발 및 고도화
• 인간-AI 치료사 상호작용 기술 개발
• 인지-정서 분석을 통한 다단계 CBT 제공

□ 과제 수행과정 및 내용
ㅇ 과제 수행과정
• (1세세부) 인공지능 활용 제조혁신 통합솔루션 요소기술 개발
- 산재해 있는 낙후된 중소 산업단지에 입주한 중소제조기업의 스마트공장 고도화에 기여, 향후 수도권지역의 타 산업단지에 적용 가능한 공통 플랫폼으로 고도화가 시급함
- 국내 중소 제조기업은 스마트공장 4단계 (기초, 중간1, 중간2, 고도화) 중에서 기초 및 중간1 단계 수준이 대부분으로, 고도화 단계로의 혁신을 위해 중소기업이 보다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는 제조혁신 통합솔루션 개발이 필요
• (2세세부) 멀티 모달리티(시각, 청각, 의미) 기반 감성인지 기술개발
- 멀티모달(이미지, 비디오 등) 기반 사용자 반응형 감성인지 기술을 개발하고 도메인에 적용함으로써, 교감형 감성지능 기술분야 핵심기술 확보 및 국내외 기술선점
- 한국은 현재 인공지능 분야에서 미국과 비교하여 2년의 기술격차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어 경쟁력 확보를 위해 미개발 분야 시장 선점 필요
• (3세세부) FPGA수준 가상 SoC 개발과 민감데이터 활용 ML 모델 실증 및 고도화
- 수도권 지역특화산업으로써 SoC를 포함한 시스템반도체와 지역 사회의 현안 해결을 위해 높은 보안성을 제공하는 고신뢰 SoC기반 디지털 자산 보호 실용화 기술은 필수적임
- 반도체기업은 신기술, 수요처 발굴 애로, 많은 개발 비용, 중국과의 경쟁 등을 난재를 극복하기 위해 공공재적 핵심 요소 기술, 개발비를 낮출 기반구축, 등 “연구개발-설계인프라-기술지원” 전주기 시스템반도체 산업 활성화 전략 필요
• (4세세부) CBT를 위한 요소기술 개발 및 고도화
- 기존의 치매 예방 프로그램은 주로 단체 대면 형태로 진행하기 때문에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 두기의 확산으로 중단될 수밖에 없었음
- 비대면 온라인 강좌나 학습지 등은 일방적이며 반복적인 학습의 경우가 많고, 기억력, 계산력과 같은 인지 능력 향상에만 집중하고 있음
ㅇ 과제 수행내용
• (1세세부) 인공지능 활용 제조혁신 통합솔루션 요소기술 개발
• (2세세부) 멀티 모달리티(시각, 청각, 의미) 기반 감성인지 기술개발
• (3세세부) FPGA수준 가상 SoC 개발과 민감데이터 활용 ML 모델 실증 및 고도화
-(주관연구기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기술 및 서비스 개발
-(공동연구기관) 지역 기업 및 대학, 사전 조사 및 세부 연구 협업
-(용역기관) 지자체 협업을 통한 데이터 수집과 서비스 사업화 및 실증
• (4세세부) CBT를 위한 요소기술 개발 및 고도화

□ 과제 수행결과 및 목표달성도
ㅇ 과제 수행결과
※ 과제 수행결과: 과제 수행에 따라 발생한 정량적, 정성적 연구개발성과, 기타 계획하지 않은 성과 등
ㅇ 과제 수행 목표달성도
가. 과제 수행 목표달성도 (기술개발 성과지표)
* 연구개발 달성실적 및 달성도 : 단계별 연구개발 달성목표의 달성실적과 달성도(%)를 기재
나. 공통지표

□ 관련 분야에 대한 기여
ㅇ 관련 분야 과학적·기술적·경제적·사회적 기여
ㅇ 후속 과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연구 결과

□ 성과관리 및 활용계획
ㅇ 성과관리 현황
• 연구데이터 수집/생산 방법
- 성남하이테크밸리/제조기업 협력을 통해서 수집
- 공개데이터 정제 및 감성인식 전문데이터 생성 용역업체를 통해서 수집
- 지자체 치매예방센터 협력을 통해서 수집
• (연구데이터 저장 및 보존)
- 연구수행 중 데이터 수집은 자체 보유한 스토리지 서버에 저장 및 관리
• 성과활용 계획
• 개발된 인공지능 활용 제조혁신 통합솔루션 요소 기술을 이용하여 중소 제조기업에서 빅데이터를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 분석함으로써 스마트공장 고도화 활용
• (감성인지 기반 비대면 서비스 실용화) 학습자의 반응분석을 통한 상호작용이 가능한 지능형 교육에이전트 및 비대면 서비스 적용
• FPGA 가상 수준 NFT SoC 설계에 활용하며, PPML 서비스용 모델을 민감정보 활용 영역에 적용하여 실증 및 고도화에 활용
• 개발된 AI 치료사를 수도권 치매안심센터 CBT 프로그램에 도입

□ 향후 과제 수행계획
ㅇ 다음 연도 연구개발계획
1)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ㅇ (1세세부) 인공지능 활용 제조혁신 통합솔루션 요소기술 개발
- 인공지능 활용 제조혁신 통합솔루션 고도화 기술개발
- 인공지능 활용 제조혁신 통합솔루션 실증
ㅇ (2세세부) 멀티 모달리티(시각, 청각, 의미) 기반 감성인지 기술개발
- 모달리티 확장 감성인지 기술개발
- 공개데이터 데이터분포 정규화 기술개발
- 경량화 모델 기반의 모바일 감성인지 기술 개발
ㅇ (3세세부) FPGA수준 가상 SoC 개발과 민감데이터 활용 ML 모델 실증 및 고도화
- 디지털 자산 보호를 위한 고신뢰 SoC 시작품 제작 및 응용 기술 개발
- 디지털 자산 보호를 위한 고신뢰 SoC지원 PPML 컴파일러 앞단 개발과 실증
ㅇ (4세세부) CBT를 위한 요소기술 개발 및 고도화
- AI 치료사를 위한 프론트엔드&백엔드 시스템 개발
- 사용자 맞춤형 AI 치료사 개발
2) 국내외 분야 환경변화 (해당시 작성)
3) 연구개발 추진전략
4) 연구개발 일정 및 기대 성과
5) 다음 연차 연구개발비 사용계획 (단위: 백만원)
6) 사업화 추진 계획

(출처 : 요약문 2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