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Knowledge Sharing Plaform

KOREAN
기술이전 검색
Year ~ Transaction Count Keyword

Detail

Bidirectional broadcasting device based on context-awareness

Manager
Hyoungjun Park
Participants
Kang Hyun Seo, Koh Jaisang, Keo Sik Kim, Kim Young Sun, Kim Jeong Eun, Kim Hee Seung, Ryu Ji Hyoung, Hyoungjun Park, Yeo Chan Il, Oh Seung-Hun, Yu Chong Hee, Lim Kwon-Seob, Jung Soo Yong, Heo Young Soon
Transaction Count
1
Year
2015
Project Code
15ZI2100, A Study on Development of ICT Technologies for Supporting Industries, Kang Hyun Seo
상황인지기반 양방향 마을 방송 단말은 양방향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무선 Access Point 및 스마트 기기의 Docking 시스템으로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와 같은 디지털 스마트 기기와 양방향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장치이며 시스템이 설치된 가정 및 특정 장소에서 와이파이, 블루투스, IR 디바이스 등 다양한 근거리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장치들과 다중 접속이 가능한 게이트웨이로 동작하며 기기의 충전과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하는 docking station으로 동작한다.
- 기존 마을방송 시스템은 공용 확성기 형태에서 세대 내 수신장치를 두는 시스템으로 발전하고 있지만, 양방향성의 부재로 서비스의 확장성이 부족함
- 또한, 기존 마을방송 시스템은 울림현상(공용 스피커), 장거리 서비스 음질 저하(유선 스피커), 주파수 혼신에 따른 음질 저하(무선 스피커)등의 정보 전달의 정확성 부족과 제한된 표시 장치로 다양한 정보 제공이 불가능함
- 양방향 마을방송 시스템에 사물인터넷(IoT)의 대표적인 응용 서비스를 활용하여 다양한 사물(센서)을 수용함으로써 유기적으로 농어촌 사회에 유익한 정보 및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함
권한에 따른 방송 대상 범위 제어(시/군, 읍/면/동, 마을 담당자) 및 관제서비스에 대한 중앙 관리로 관리 및 유지 용이성 확보
농어촌 마을단위 방송은 단방향 방송기술을 기반한 시스템 및 제품만 존재하므로, 기술개발 후 국내시범 적용후, 해외 단위마을 적용을 위한 해외수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
다양한 정보 제공 및 주민 참여를 통한 주민 의견 수렴기능을 제공하며, 사물 인터넷 연동을 통한 정보 수집으로 자기 관리 기능을 제공하여 농/어촌 지역의 복지 및 정보화 인프라 구축가능
기술명 : 상황인지기반 양방향 방송단말 기술
- 양방향 방송단말 회로 설계 및 펌웨어 제작 기술
- BLE기반 멀티 센서 및 스마트라이프 밴드 회로 설계 및 펌웨어 제작 기술
- 양방향 마을방송 운용 S/W 제작 기술
기술명 : 상황인지기반 양방향 방송단말 기술
- 양방향 방송단말 회로도 및 펌웨어 S/W
- BLE기반 멀티 센서모듈 회로도 및 펌웨어 S/W
- 스마트라프 밴드 회로도 및 펌웨어 S/W
- 마을방송 운용프로그램 UI/UX 및 소스 코드
- BLE기반 멀티 센서 모니터링 앱 S/W
- 스마트라이프밴드 S/W
- 상황인지기반 양방향 방송단말 시험결과서
- 권한에 따른 방송 대상 범위 제어(시/군, 읍/면/동, 마을 담당자) 및 관제서비스에 대한 중앙 관리로 관리 및 유지 용이성 확보
- 농어촌 마을단위 방송은 단방향 방송기술을 기반한 시스템 및 제품만 존재하므로, 기술개발 후 국내시범 적용후, 해외 단위마을 적용을 위한 해외수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
- 다양한 정보 제공 및 주민 참여를 통한 주민 의견 수렴기능을 제공하며, 사물 인터넷 연동을 통한 정보 수집으로 자기 관리 기능을 제공하여 농/어촌 지역의 복지 및 정보화 인프라 구축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