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Knowledge Sharing Plaform

KOREAN
연구보고서 검색
Type Funding Org. Research Org.
Year ~ Keyword

Detail

초저에너지 프로세서를 위한 NZV 마이크로그레인 아키텍처 기술 (2차년도)
Download 927 time
Participants
엄낙웅, 강태욱, 변경진, 배영환, 김정범, 김상필, 김현미, 이석호, 장형욱, 한규승, 김성은, 최병건, 이우주, 이재진, 임인기
Published
201712
Type
Annual Report
Keyword
IoT 디바이스, 저전력 SoC 설계, 초 저전력 기술, ULP, Ultra Low Power
KSP Keywords
Low energy, Ultra-low-energy
Funding Org.
한국전자통신연구원
Research Org.
한국전자통신연구원
DOI
10.22648/ETRI.2017.R.000138 
Project Code
17ZB1600, Near-Zero-Voltage Micro-Grain Architecture for Ultra-Low-Energy Processor, Jae-Jin Lee
Abstract
제 1 장 서론
제 1 절 연구 목표
사물인터넷 (IoT) 시대가 도래하며, 세계 주요국가 및 글로벌 기업들은 차세대 IoT 디바이스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치열한 경쟁을 하고 있다. 시장 분석 업체들은 저전력 기술을 IoT 디바이스 시장의 최대 핵심 경쟁 기술로 지목하고 있으며, 저전력 기술 개발을 통한 IoT 디바이스들의 전력사용량 또는 배터리 사용량 문제가 해결되었을 때 본격적인 IoT 시대가 열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저전력 기술을 뛰어넘는 초저전력 (Ultra-Low Power, ULP) 기술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궁극적으로 국내 IoT 디바이스 산업이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추는 것에 기여하고자 한다.

1. 필요성 및 중요성
가. 연구 과제의 필요성
1) 정책적 필요성
가) IoT 시대의 도래로 2020년경에는 IT융합 디바이스 시장의 상당부분이 웨어러블을 비롯한 IoT 디바이스들로 대체될 것으로 전망됨
나) 세계 주요국가 및 글로벌 기업을 중심으로 차세대 IoT 디바이스 시장 선점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국내 IoT 디바이스 산업의 선전을 위해선 IoT 디바이스용 초저전력 프로세서 개발이 필수
다) 미래창조과학부가 추진하는 K-ICT 9대 전략산업에 부응하여 디바이스 World-Best 기술확보를 통한 차세대 IoT 디바이스 글로벌 시장 선도

2) 기술적 필요성
나) 2020년까지 웨어러블, IoT 기기 등이 급속히 보급될 때, 전력 사용량 또는 배터리 사용량 문제는 기술적으로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
다) 기존 프로세서 시장을 양분하고 있는 ARM과 Intel을 비롯한 중국, 인도등의 신흥 프로세서 개발 회사들은 저전력 프로세서 연구개발에 몰두
라) 차세대 IoT 디바이스 용 프로세서 시장 석권을 위해서는 저전력 기술을 뛰어넘는 초저전력 (Ultra-Low-Power) 프로세서 설계 기술 개발이 필수

(출처 : 본문 제1장 서론 4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