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Knowledge Sharing Plaform

KOREAN
연구보고서 검색
Type Funding Org. Research Org.
Year ~ Keyword

Detail

교감형 스마트 OLED 광원 핵심 기술 개발 (6차년도)
Download 686 time
Participants
차아밍, 문제현, 유병곤, 정태형, 이종희, 강민희, 양승용, 한준한, 박승구, 조두희, 박은숙, 이수진, 황주현, 전상훈, 박영준, 김현정
Published
201409
Type
Annual Report
Keyword
면광원, 광추출, 유연광원, 광전력 효율
KSP Keywords
Light source, smart lighting
Funding Org.
한국전자통신연구원
Research Org.
한국전자통신연구원
DOI
10.22648/ETRI.2014.R.000044 
Project Code
14ZB1200, 교감형 스마트 OLED 광원 핵심기술개발사업, Byoung Gon Yu
Abstract
제 1 장.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중요성
가. 연구개발과제의 필요성
o 전 세계 전력소모의 약 19%에 달하는 조명의 효율을 향상시켜 온실가스의 배출을 억제하기 위하여 차세대 반도체 조명인 OLED 조명 개발을 위한 연구가 다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
o 전 세계 조명용 전력소모의 50%가 넘는 백열등 (효율 15 lmW)의 사용 및 판매를 중지시킬 법안이 선진국을 중심으로 준비 중에 있어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우수한 효율의 광원 개발이 요구되며, 백열등에 비하여 7배의 우수한 효율 특성을 갖는 형광등(CFL 포함)은 수은을 사용하고 있어 RoHS, WEEE 환경규제로 인하여 점진적으로 사용을 줄이고 있는 실정임.
o 우리나라도 2013년부터 Post Kyoto 기후협약에 가입하게 됨으로서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7%이상 의무적으로 감소시켜야 하므로, 이산화탄소 감축 정책에 선도적인 역할을 위하여 저탄소 녹색 성장기본법을 제정하고 202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전망치(BAU) 대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의 30%를 감축하는 것을 중기 감축을 목표로 하고 있음.
o 산업통상자원부는 2008년 12월에 발표한 백열전구 퇴출계획에 따라 2014년 1월부터 국내 시장에서 백열전구의 생산과 수입을 전면 중단한다고 최근에 발표하였음. 130년간 사용하였던 백열등을 퇴출한다는 것임. 백열전구 퇴출은 세계적으로 순차적으로 진행되고 있는데 미국은 현재 100watt와 75watt 백열전구의 생산과 수입이 중단되어 있고, 60watt와 40watt 백열전구도 내년까지 생산과 수입을 점진적으로 중단할 예정임. 유럽은 상당수의 국가가 생산을 중단하였고 일본, 중국, 러시아도 점진적으로 생산을 중단하거나 줄이고 있는 중임.
o 이에 OLED 조명이 고효율과 장수명, 저가격의 특성을 확보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 저탄소배출이라는 사회적 요구에 부합할 수 있는 차세대 기술로 기대되고 있기 때문임.
o OLED 조명은 단기적으로는 유리를 기반으로 하여 타일링한 형태의 조명이 2014년부터 상용화될 것이며, 중기적으로는 투명 조명/색가변 조명이, 장기적으로 플렉서블 조명이 상용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현재의 OLED 조명 기술의 개발은 조기 상용화를 위한 고효율화 및 가격경쟁력 확보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음.
o 조명의 발전추이를 보면, 기존의 수동형 조명에서 능동형 조명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광출력, 디밍, 색, 색온도의 제어가 가능한 광원의 개발과 선형, 원형의 형태를 탈피한 면광원,투명광원, 유연광원 등 새로운 형태의 광원 개발과, 센서연동 구동, 무선제어, 컨텐츠를 포함한 IT융합형 조명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됨.
o 또한, 조명은 그 자체로의 산업뿐만 아니라 건설업, 운송업(자동차, 선박, 항공 등), 농수산업, 가전산업, 의료산업등과의 융합을 통하여 기존 산업을 고부가가치화하거나 신산업이 창출을 위한 동력원으로 부각되고 있음.
o 조명의 발전 트랜드에 부합할 수 있도록 에너지 절감, 친환경과 더불어 인간 친화, IT 컨버젼스형 조명에 걸맞게 환경의 광량, 온습도, 실내 환경, 피조광물의 상태, 조광의 목적에 따라 환경을 감지하여 광원의 조도, 색온도, 컬러가 변화하는 인간-환경-빛의 교감하는 정보표시/전달형 교감형 OLED조명의 개발이 요구됨.

( 출처 : 본론 제1장 서론 4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