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Knowledge Sharing Plaform

KOREAN
연구보고서 검색
Type Funding Org. Research Org.
Year ~ Keyword

Detail

초실감 공간 미디어 원천 기술 개발 (2차년도)
Download 1200 time
Participants
이병선, 김현철, 안재영, 왕기철, 이경락, 박수영, 양정기, 양승준, 석주명, 안상우, 이현우, 조용주, 이용주, 임광재, 김인준, 황유라, 이미숙, 유재현, 이수전, 정순흥, 무하마드, 서정일, 이태진, 장대영
Published
201912
Type
Annual Report
Keyword
다중 센서, 공간 음향 모델링, CPS, Cyber Physics System
Funding Org.
한국전자통신연구원
Research Org.
한국전자통신연구원
DOI
10.22648/ETRI.2019.R.000423 
Project Code
19ZR1100, Development of Fundamental Technology for Hyper-Realistic Media Space, Jeongil Seo
Abstract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개발과제의 필요성
◯ (미디어 패러다임 변화) IT 기술 발전에 따라 수동적 평면 미디어 소비 환경에서 시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미디어 공급 경로를 통해 가상/현실 공간 구별이 어려운 공간미디어로의 미디어 패러다임 변화 진행 중

◯ (초실감 체감미디어 대두) 미디어의 지능화, 초실감화 및 인터랙션을 통해 사용자 의견이 반영되고, 자유로이 시점 이동이 가능하며, 미디어를 통해 사물의 오감을 느끼고 교감할 수 있는 초실감 체감미디어에 대한 필요성 대두

◯ (AR/VR 서비스 한계노출) 최근 AR/VR 관련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현재 기술 수준에서는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실생활과 유사한 자연스러운 사용자의 이동에 따른 공간미디어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의 선점이 시급함

◯ (공간시뮬레이션의 실감화) 공간영상, 공간음향, 공간환경모델 기술을 접목한 실감공간 CPS(Cyber-Physical System)를 통해 기존 그래픽기반 공간시뮬레이션의 한계를 극복하여 현실감과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이를 활용한 자율운항 기술 수준의 혁신적 개선 필요

◯ (CPS의 실감화) 물리/가상 세계간 디지털 트윈을 구성하는 CPS(Cyber Physics System)를 AR/VR/XR/MR의 집합체인 실감공간 CPS로 확장함으로써 폭발적 응용분야 확대 필요
⇨ 초실감 체감형 공간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원천기술 개발 및 표준화를 추진함으로써, 현재의 컴퓨터 그래픽 중심 VR 기술과 평면콘텐츠 중심의 방송 기술의 경계를 넘나드는 뉴미디어 산업 창출 및 글로벌 시장 선점 필요

(출처 : 본문 : 제1장 서론 7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