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Knowledge Sharing Plaform

KOREAN
연구보고서 검색
Type Funding Org. Research Org.
Year ~ Keyword

Detail

의료 기반 VR Therapy 기술 개발 (최종)
Download 298 time
Participants
임선희, 손욱호, 김상원, 김용완, 정혁, 강현, 김홍기, 김기홍, 조동식, 이건, 양웅연, 김종성
Published
200512
Type
Final Report
Keyword
뇌파 기반 HCI, 근전도 기반 HCI
KSP Keywords
Medical therapy, Virtual Reality
Funding Org.
한국전자통신연구원
Research Org.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oject Code
05ZC1100, Development of a Vitural Reality-based Medical Therapy Technology, Jong-Sung Kim
Abstract
기본 사업에서의 연구개발의 내용과 범위는 크게 뇌파 기반 HCI 기술, 근전도 기반 HCI 기술로 나누어진다. 또한, 연차별 주요 연구내용과 결과를 정리하여 연계성 있는 연구 개발을 꾀하였다.
□ 뇌파 기반의 HCI 기술개발
정상인 혹은 기존의 마우스나 키보드 등의 입력 장치 사용이 어려운 장애인에게 보다 직관적이고 사용이 용이한 HCI를 제공하고, 컴퓨터와의 좀 더 자연스러운 상호작용을 위하여, 뇌파를 통해 파악된 사람의 의도와 감정 상태를 인터페이스의 도구로 활용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심상뇌파를 이용하여 온라인 방향 인식 알고리즘을 개발하였고, 사용자의 여러 가지 감정 상태를 유도하는데 필요한 시청각 자극 및 실험 패러다임을 설계, 나아가 이를 통해 감정 상태를 인식하고, 부정 감정 상태를 이완해주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 근전도 기반의 HCI 기술개발
기존의 전동 휠체어 조정이나 마우스나 키보드 등의 입력 장치 사용이 어려운 중증 척수 장애인에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근전도 기반의 HCI 기술 및 인터페이스 응용 시제품을 개발하였다. 당해년도의 인터페이스 응용 시제품은 독립보드형 근전도 처리모듈을 탑재하여 노트북 컴퓨터 없어 훨씬 용이하게 중증 척수 장애인이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아울러 독립보드형 근전도 처리모듈에 적합하도록 기존의 근전도 신호 인식 알고리즘을 수정 및 보완하고 기존 연도의 사용자 요구를 수용하여 휠체어 제어용 UI 및 관련 명령어 제어 알고리즘을 추가로 작성하였다. 또한 기존 연도에는 상용 근전도 센서를 사용하였으나 당해연도에는 저잡음 고이득의 건식타입 근전도 센서를 개발하여 전체 시스템을 독자적인 기술로 구성할 수 있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