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Knowledge Sharing Plaform

KOREAN
연구보고서 검색
Type Funding Org. Research Org.
Year ~ Keyword

Detail

ETRI R&D 성과의 사업화 촉진 사업 (최종)
Download 1170 time
Participants
이재기, 이해원, 김태홍, 유종준, 정희영, 한기평, 김용채, 박종흥, 송재관, 송인택, 신경철, 허성익, 채미옥, 김영화, 박애순, 성낙선, 남명희, 이형섭, 김한나, 최희진, 윤수진, 김주석, 김은정, 정영근, 이형주, 길운규, 김인수, 주무정, 박태웅, 정하재, 김동섭, 배문식, 김기호, 유지인, 문희진, 박정현, 여유주, 최지은, 정유현, 강병용, 류동현, 소운섭, 전선심, 이철욱, 박사종, 심용호, 박웅, 정옥조, 박범수, 황호영, 김서균, 김영호, 김호민, 이혜선, 김형주, 박소라, 조상인, 정지성, 김동호, 박호영, 오경석, 김약연, 이주행, 이재호, 손주찬, 조원석, 윤석진, 방영조, 이지현, 신성웅, 이동수, 김동규, 김해용, 오천인, 이영하, 노두환, 정재찬, 진은숙, 이정원, 유재준, 김승현, 조영조, 이일진, 남기혁, 김진경, 황택진, 손정보, 이영임, 배병준, 이용훈, 남현순, 김법중, 이동한, 최민서, 박광로, 홍효봉, 조호길
Published
202201
Type
Final Report
Keyword
기술사업화, 기술이전, 창업, 성장 지원
Funding Org.
한국전자통신연구원
Research Org.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oject Code
21ZV1100, ETRI R&D성과의 사업화 촉진사업, Ho Young Park
Abstract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o ETRI 연구성과의 활용·확산 촉진 및 연구성과 활용기업의 혁신성장

○ 1단계
□ 목표
o ETRI 연구성과의 산업계 확산과 기술이전·사업화 활성화 및 연구성과 활용기업의 혁신성장 도모

□ 내용
ㅇ 과제 수행내용
- R&D성과 활용 기술혁신 창업 및 창업기업 성장 지원
- 연구성과 활용기업(사업화기업)의 기술경쟁력 강화 지원체계 구축 및 운영
- 주요 연구성과의 활용 촉진 체계 운영 및 수요 기반 조성
- 연구성과의 사업화 촉진 전략 연구

수행 목표 - ① R&D연계 기술혁신 창업 활성화 및 창업기업 성장지원 기반 확대
수행 내용 및 범위
• R&D성과 활용 기술혁신 창업 및 창업기업 성장지원
- 창업교육 확대, 창업 공모전 시행 등 ETRI 창업아카데미 운영
- 우수 창업 아이디어 발굴 및 예비창업자 아이디어 고도화 지원
- 창업일체형 R&D사업 기획·운영
- 창업기업·연구소기업 설립 및 성장 지원
- 창업기업 성장포럼 등 창업기업 협력 네트워크 운영

수행 목표 - ② 연구성과 활용기업의 사업화 성과 창출 지원체계 강화
수행 내용 및 범위
• ETRI기술 사업화기업 기술경쟁력 강화 지원체계 운영
- 연구인력 현장지원 프로그램 운영
- E-패밀리기업 지원·운영
- 기술도우미 지원 및 연구인프라 활용 지원체계 운영
- 중소기업지원·사업화협력 통합 플랫폼 운영
- 사업화 대상기술 실증 및 시험 지원체계 운영

수행 목표 - ③ 주요 연구성과의 활용 촉진체계 운영 및 수요기반 확대
수행 내용 및 범위
• 주요 연구성과의 활용 촉진체계 운영 및 수요기반 조성
- 주요 연구성과의 확산 및 활용 촉진 기반 운영(Tech-Day, 설명회·상담회, BM-SMK 개발 등)
- 수요기반 확대를 위한 개방형 협력 네트워크 운영 강화
- 유니콘 기업 육성지원체계 구축 및 운영
- 연구성과 활용기업 해외 기술사업화 지원 확대

수행 목표 - ④ 연구성과 사업화 촉진 전략 연구
수행 내용 및 범위
• 연구성과 사업화 촉진 전략 연구
- 기술사업화 정책·전략 연구 및 정책협력 네트워크 기획/운영
- Tech-Market Bridge Program 운영
- ETRI R&D·사업화 협력/지원 성과 분석
- 사업화 촉진·지원 성과관리 및 홍보체계 운영
- 연구성과 활용기업 집중육성체계(E-케어 프로그램) 구축·운영
- 연구성과의 사업화 촉진 지원사업 기획 및 운영·관리

□ 연구개발성과
ㅇ 과제 수행결과
정량
2020년도 (성과)
• 창업·연구소기업 설립: 15개
• 창업 우수 아이디어 발굴: 15건
• 예비창업 지원: 3건
• ETRI 창업 아카데미 운영: 1건(4회)
• 연구인력 현장지원: 40명
• E-패밀리기업 집중지원: 36개 기업
• 연구성과 활용기업 장비활용/시험·인증 지원: 52건
• 사업화 대상기술 실증(시제품/PCB/금형) 지원: 6건
• 중소기업지원·사업화협력 통합 플랫폼 구축·운영
• 연구성과 사업화협력 수요기업 발굴(기술이전): 30건
• 기관 상위역할(R&R) 연계 Tech-Day 개최: 3회
• 기술설명회·기술교류회·테크매칭데이 개최: 18회
• 사업화유망기술 발굴 및 SMK 제작: 72건
• 주요사업 및 연구원 대표성과 Biz-Model 개발: 6건
• 글로벌 R&D 및 사업화 협력기회 발굴·지원: 7건
• ETRI 유니콘 프로젝트(UP) 구축
• ETRI 기술사업화 전략 수립: 4건
• Tech-Market Bridge Program 기획 및 운영: 1건
• 기술사업화 정책협력 네트워크 활동: 11회
• R&D·사업화 지원성과 분석·홍보 및 사례집 발간: 3건
• 기술가치평가 협력 네트워크 운영(특례상장 평가): 5건
• ICT 기술사업화 페스티벌 기획·운영: 1건
• E-케어 프로그램 운영 체계 구축

2021년도 (성과)
• 창업·연구소기업 설립: 13개
• 창업 우수 아이디어 발굴: 22건
• 예비창업 지원: 8건
• ETRI 창업 아카데미 운영: 1건(4회)
• 연구인력 현장지원: 48명
• E-패밀리 기업 지원: 40개 기업
• 연구성과 활용기업 장비활용/시험·인증 지원: 76건
• 사업화 대상기술 실증(시제품/PCB/금형) 지원: 12건
• 중소기업지원·사업화협력 통합 플랫폼(TechBiz) 운영
• 연구성과 사업화협력 수요기업 발굴(기술이전): 31건
• 기관 상위역할(R&R) 연계 Tech-Day 개최: 4회
• 기술설명회·기술교류회·테크매칭데이 개최: 21회
• 사업화유망기술 발굴 및 SMK 제작: 83건
• 기본사업 및 연구원 대표성과 Biz-Model 개발: 10건
• 글로벌 R&D 및 사업화 협력기회 발굴·지원: 5건
• 프리유니콘 후보기업 발굴(기술출자 추진): 2건
• ETRI 기술사업화 전략 수립: 2건
• Tech-Market Bridge Program 기획 및 운영: 1건
• 기술사업화 정책협력 네트워크 활동: 11회
• R&D·사업화 지원성과 분석·홍보 및 사례집 발간: 3건
• 기술가치평가 협력 네트워크 운영(특례상장 평가): 6건
• ICT 기술사업화 페스티벌 기획·운영: 1건
• E-케어 프로그램 운영: 71개 기업
• 내부 R&BD 사업 기획·운영·지원: 15개

정성
2020년도 (성과)
• (혁신성과) 창업‧연구소기업의 성장역량 강화
- 고성장기업: 26.4%(국내 2.0%), 가젤기업: 13.9%
- 신생기업 5년 생존율 90.5%(국내 29.2%)
• (기술성과) 기술향상 등 기업의 기술경쟁력 제고
- 기술수준 16.9%p 향상(선진국대비, 68.7%→85.6%),기술준비도(TRL) 2.4단계 향상(4.4→6.8), 기술개발기간 단축: 평균 6.5개월
• (경제성과) 파급효과 540억원, 신규고용 554명
- 기여매출액 437억원(기업당 9.9억원), 비용절감액 103억원(기업당 0.5억원), 고용 554명(기업당 4.8명)
• (만족도) 수혜기업 지원 만족도 평균 92.0점

2021년도 (성과)
• (혁신성과) 창업·연구소기업의 혁신성장 유지
- 고성장기업: 24.6%(국내 1.9%), 가젤기업: 8.7%
- 신생기업 5년 생존율 91.9%(OECD 평균 40.7%)
• (기술성과) 개발기간 단축 등 기업 기술력 제고
- 기술수준 14.3%p 향상(선진국대비, 66.7%→81.0%), 기술준비도(TRL) 2.2단계 향상(4.5→6.7), 기술개발 기간 단축: 평균 6.6개월
• (경제성과) 파급효과 685억원 및 신규고용 556명
- 기여매출액 413억원(기업당 8.9억원), 비용절감액 272억원(기업당 1.8억원), 고용 558명(기업당 5.1명)
• (만족도) 수혜기업 지원 만족도 평균 91.8점
ㅇ 과제수행 목표 달성도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효과
ㅇ 성과 활용계획
- (기술창업) 개방형 협력체계를 기반으로 연구원 창업 저변확대와 직접 사업화 촉진 및 창업자 육성 모델의 지속적인 혁신
· 개방형 협력체계를 기반, 대기업·중견 기업과의 합작기업(JV) 설립, 매각, IPO 등 다양한 출구(EXIT) 전략을 통한 기술료 수입 확보
- (기술상용화) 출연(연)-중소·중견기업이 상생 발전하는 R&D/사업화 파트너십 강화로 산·연 개방형 협력 생태계 활성화
· 연구인프라와 지원부서의 집적화로 기술·인력·인프라·컨설팅 등 올인원(All-in-One) 지원이 가능한 기업밀착지원환경 구축
- (성과확산) 연구성과 활용·확산 협력채널 운영으로 대형 기술사업화 성과 창출을 도모하는 연구성과 활용·확산 확대
· 산·학·연 기술사업화 협력방안 수립 및 중소기업의 신사업 기회 발굴 도모와 조기 상용화를 위한 시장 기반 R&D·사업화 기획

ㅇ 기대효과
사회적 기여
• 창업지원 유관기관과의 개방형 협력체계를 기반으로 창업 전주기 지원을 통하여 연구성과 활용 기반의 기술창업 성공가능성 제고 및 고성장 창업·연구소기업 육성
– 창업기업 설립 8개 기업, 연구소기업(기술출자기업) 설립 20개
• ETRI-기업 간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대내외 연구자원을 연계·활용하여 기업의 성장 원천을 집중 지원함으로써 중소·벤처기업의 기술역량 확보 및 혁신성장 도모
– 연구인력 파견 88명, 연구장비 활용 및 시험·인증지원 128건, 사업화 기술 실증 지원 18건 등
• 연구개발(R&D) 성과정보의 신속한 제공으로 연구원-기업 간 정보비대칭성 해소 및 기술거래 시장 참여자와의 협력 채널 구축으로 기업에 새로운 사업 기회 제공
– 연구성과 정보 제공(예고기술 241건, 유망기술 155건) 및 기술설명회/기술교류회 39회

경제적 기여
• 창업 전주기 맞춤형 성장지원과 투자유치 지원으로 고성장기업으로의 도약 기반 및 신사업 기회 제공
– 2개 기술출자기업(연구소기업) IPO(코스닥 상장) 성공, 기술출자수익 206.1억원(공모가 기준) 확보
• 고객 관점에서 연구성과의 활용 분야와 사업화 아이디어 개발/제공으로 기업의 신사업 창출 기회 제공
- 국내 대기업/중소기업 기술이전 실시: 기술료 34.3억원(기술이전 61건)
• 연구성과의 추가개발 및 상용화 지원으로 조기 제품화, 비용 절감, 매출 신장 등 시장역량 향상
- 기여 매출액 850억원, 비용절감액 376억원, 신규고용 창출 1,112명

(출처 : 요약문 2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