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Knowledge Sharing Plaform

KOREAN
연구보고서 검색
Type Funding Org. Research Org.
Year ~ Keyword

Detail

DNA 기반 국가 지능화 핵심기술 개발
Download 248 time
Participants
지덕구, 박지상, 이아현, 강진아, 안동현, 박남식, 김형선, 이현정, 송수영, 심민석, 정대희, 김승환, 장인성, 이강우, 이병복, 김경호, 김주완, 신성웅, 오천인, 김지훈, 이종민, 위현중, 구민수, 주인학, 오은빈
Published
202312
Type
Annual Report
Keyword
공간 정보, 디지털 트윈, 개별 이동 객체, 멀티모달 센서, 3D 지도, Spatial information, Digital twin, Individual mobility, Multi-modal sensor, 3D map
KSP Keywords
Intelligent core
Funding Org.
한국전자통신연구원
Research Org.
한국전자통신연구원
DOI
10.22648/ETRI.2023.R.000013 
Project Code
23ZR1200, DNA 기반 국가 지능화 핵심기술 개발, Seunghwan Kim
Abstract
□ 과제수행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교통, 환경 등 복잡한 도시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실세계 공간정보와 멀티모달 센서를 융합한 디지털 트윈 기반의 지능화 플랫폼을 위한 핵심원천기술 개발

◎ 전체 내용
ㅇ 멀티모달 센서 연계 이동객체 검출 기술 개발
ㅇ 도시공간 데이터 저장관리 및 가시화 플랫폼 개발
ㅇ 대용량 도시공간 데이터 AI 분석 기술 개발
ㅇ 교통영상 공유활용 플랫폼 개발

◎ 1단계
● 목표
실세계 도시를 디지털로 재현·분석하는 공간지능화 요구사항 분석 및 단위 기술 개발

● 내용
ㅇ 멀티모달 센서 연계 이동객체 검출 단위 기술 개발
ㅇ 도시공간 데이터 저장관리 및 가시화 플랫폼 단위 기술 개발
ㅇ 대용량 도시공간 데이터 AI 분석 및 최적화 기술 설계

◎ 2단계
● 목표
디지털 트윈 기반의 도시 지능화 핵심원천기술 개발 및 서비스 실증

● 내용
ㅇ 멀티모달 센서 연계 이동객체 검출 핵심원천기술 개발
ㅇ 대용량 spatial 데이터 저장관리 플랫폼 개발
ㅇ 교통영상 공유활용 플랫폼 개발

◎ 당해 연도
● 목표
실세계 도시를 디지털로 재현·분석하는 도시공간 지능화 플랫폼 개발

● 내용
ㅇ 다중 카메라 다중 물체 추적 기술 개발
ㅇ 도시교통 데이터 분석을 위한 인공지능 모델 훈련 및 운영 관리 기술 프로토타입 개발
ㅇ 고정 카메라 기반 물체 측위 기술 고도화
ㅇ 대용량 spatio-temporal 데이터 저장관리 플랫폼 개발
ㅇ 교통영상 공유활용 플랫폼 통합 시험
ㅇ 오픈스페이스 주차 혼잡도 산출 서비스 프로토타입 개발

□ 과제 수행과정 및 내용
【과제 수행과정】
ㅇ 도시 디지털 트윈 모델을 위한 멀티모달 센서의 센싱 범`위에 대한 시간 및 공간적 한계 극복과 복원 데이터의 정확도를 확보하는 데 초점을 두고 연구를 수행함
ㅇ 3D 공간정보 기반의 지능화 디지털 트윈 플랫폼을 구축하고 도시교통 통합관제, 주차관리, 보행자 안전, 교통정보 공유활용 등 개별 응용 서비스 플랫폼을 위한 공통 플랫폼의 형태로 개발을 수행함
ㅇ 대규모 공간빅데이터 저장관리, 3D 공간정보 데이터 모델링, 5G 센싱 및 지능화 CCTV 등 도시공간 지능화 관련 기존 연구 know-how와 오픈소스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연구개발을 추진함
ㅇ 도시현상을 재현 및 분석하는 도시공간 지능화 기술은 내부 테스트베드에서 핵심기술을 개발하여 시험한 다음 실제 현장의 데이터를 적용하여 기능을 개선함
ㅇ 스마트시티 서비스 기술, 실감형 3D 공간정보 기술 등 관련 수요처와 긴밀한 연구 협력 체계를 구축하여 협업을 추진함
ㅇ 연구소가 우선적으로 확보해야 하는 핵심 기술에 대하여 반복적 프로토타입 개발과 성능 평가를 통한 피드백으로 지속적인 기능과 성능을 개선할 수 있도록 순차적 반복적 프로토타입 기술개발 방법을 추진
【과제 수행내용】
ㅇ 다중 카메라 다중 물체 추적 기술 개발(수행기관: ETRI)
- 차량에 특화된 영상기반 re-identification 기술
● 기존 DeepSORT 프레임워크를 개선하여 차량 추적에 특화시킴
● 사용자 정의 영역(Zone)을 활용한 차량 추적 성능 개선
- 시공간 정보 연계 차량 추적 성능 개선 방안 연구
● 외형 기반 차량 association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도로 네트워크 정보를 활용한 추적 성능 향상
- 다중 카메라 다중 물체 추적 시스템 프로토타입 개발
● ETRI 원내 테스트베드 구축 및 추적 시스템 구축
● 다양한 방식의 MCMOT 기능 실험
ㅇ 도시교통 데이터 분석을 위한 인공지능 모델 훈련 및 운영관리 기술 prototype 개발 (수행기관: ETRI)
-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개발 패키지의 지속적 통합과 배포 인프라 구축 및 검증
● 인공지능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 및 운영 전주기 관리 체계 연구
ㅇ 고정 카메라 기반 물체 측위 기술 고도화 (수행기관: ETRI)
- 지형/고도를 고려한 이동체 검출 및 위치화 기술 고도화
● 3차원 도심 환경에서 도로마커를 이용한 카메라 캘리브레이션 및 지형 고도 동시 추정 기술 개발
● 3차원 도심 환경에서 관찰된 물체의 3차원 미터단위 위치 추정 기술 개발
- 이동체의 중심점 및 지면과의 접점 추정 기술 개발
● 카메라 시점과 지면의 기울기를 고려한 가상 물체 렌더링
● 가상 물체 렌더링을 통한 접점 테이블 획득 및 검색
- CCTV 자동 캘리브레이션 기술 고도화
● 도심 환경의 다수 CCTV 카메라 캘리브레이션 및 최적 카메라-지형모델 선택 기술 개발
● 체스보드 영상 없이 도심 환경의 도로마커를 이용한 최적 카메라 모델 선택
● 3차원 점군 정보 없이 도심 환경의 도로마커를 이용한 최적 지형 모델 선택
● 도심 환경의 최적 카메라-지형 모델 선택 및 멀티 카메라 캘리브레이션 기술 개발
● 위성영상, 카메라 영상 내 다양한 ROI 설정을 위한 사용자 친화적 도구 개발
● 영상기반 3차원 분석 기술 적용을 위한 체계적인 절차 마련
ㅇ 대용량 spatio-temporal 데이터 저장관리 플랫폼 개발 (수행기관: ETRI)
- 대용량 spatio-temporal 데이터 저장관리 기술 개발
● 대용량의 차량 궤적 데이터(시공간 데이터)를 임포트 및 저장하는 모듈 개발
● 궤적 데이터 분석 모듈 개발
- Spatio-temporal 데이터 접근을 위한 SQL-like 인터페이스 개발
● 차량 추적 데이터(궤적/영역/영상)조회/검색/분석을 위한 질의언어 및 인터페이스 개발
- 분산 GeoStream 처리 기술 개발
● 기반 분산 Kafka 차량 추적 이벤트 처리 기술 개발
● 영역 기반 차량 이벤트 처리 기술 개발
ㅇ 교통영상 공유활용 플랫폼 통합 시험 (수행기관: ETRI)
- 교통영상 저장/관리/공유 기술 통합 시험 및 기능 검증
● 교통사고 영상 관리 기능 및 외부 모듈 연동 기능 개발
- 교통영상 데이터 처리 및 분석 기술 통합 시험 및 기능 검증
● 블랙박스 영상 프레임 순차 입력시 사고 구간 예측 기술 개발
● 블랙박스 영상 기반 사고 구간 탐지 및 사고 종류 분류를 위한 통합 모델 개발
- 차량 번호판 비식별화 기능 고도화 및 통합
● 차량번호판 검출 모델 성능 고도화
● 비식별화 모듈 인터페이스 개발 및 시험
ㅇ 오픈스페이스 주차 혼잡도 산출 서비스 프로토타입 개발 (수행기관: ETRI)
- 비구획면 주차차량 공간점유 현황 분석기술 개발
● 주차선이 정해지지 않은 비구획면 주차 공간 주차 혼잡도 산출
● 주차가능 차량 대수 및 혼잡도 산출 서비스 프로토타입 개발
ㅇ 웹 기반 도시 디지털 트윈 모델 가시화 SW 개발 (수행기관: 아이씨티웨이)
- 웹 및 XR 기반 가시화 기능 개발
● 웹 및 XR 기반 3차원 공간정보 시각화 기능
● 통계분석정보 가시화 기능

□ 과제 수행결과 및 목표달성도
【과제 수행결과】

【과제 수행 목표달성도】
가. 과제 수행 목표달성도 (기술개발 성과지표)
나. 공통지표

□ 관련 분야에 대한 기여
○ 관련 분야 과학적·기술적·경제적·사회적 기여
◇ 과학적
ㅇ 디지털 트윈 기반의 도시 지능화 플랫폼 핵심원천기술 연구를 통해 미래의 디지털 트윈 기반의 스마트시티 연구 분야에 기여함
- 넓은 지역에서 다중 객체를 추적하기 위한 re-identification 알고리즘 개발
- 3차원 도심 환경에서 관찰된 물체의 3차원 미터단위 위치 추정 기술 개발
- 대용량 공간 빅데이터 저장관리 (입출력, 클러스터링, 조인) 기술 개발
- AI 기법을 활용한 대용량 교통영상에서의 특정 이벤트(예: 교통사고) 구간 자동 검출
◇ 기술적
ㅇ 디지털 트윈 모델 기반의 데이터 수집, 저장, 관리 및 제공기능을 개발해, 공공 분야(환경, 보안, 교통, 치안 등)의 사회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 개발에 기여함
- CCTV를 활용한 이동체 검출, 추적하여 실세계 좌표를 추정하고, 이를 XR 기반으로 3차원 가시화하는 통합 플랫폼 개발
- 도시 디지털 트윈 플랫폼 시스템 및 이동객체 정보 분석 및 관리 방법
- 블랙박스 영상 데이터 검색 및 수집 방법
- 블랙박스 영상 내 비정상 이벤트 탐지 시스템 및 방법
◇ 경제적
ㅇ 도시 공간 내 정적 데이터인 지형, 도로, 건물뿐만 아니라, 개별 이동체인 차량과 보행자의 데이터를 수집 및 관리할 수 있는 연구를 통해 스마트시티 혹은 디지털 트윈 기반의 도시 운영 효율성 증대에 기여
ㅇ 대규모 복잡한 네트워크로 구성된 도시환경의 객체간 상호작용·인과관계 분석과 이해를 통해 교통, 환경, 전염병 등 복잡한 도시문제의 발생 원인과 과정을 분석하는 핵심 기술로 활용 시 시뮬레이션 비용 감소
ㅇ 도시 디지털 트윈 핵심원천기술이 사회적으로 안정적으로 적용되어, 디지털 트윈 기반의 융합서비스 출현 가속화 기대
ㅇ 국내 기업들에게 디지털 트윈 모델을 지원할 수 있는 플랫폼 및 핵심원천기술을 이전 및 전수해 디지털 트윈 기반 스마트시티 서비스 관련 시장 규모 성장 및 산업 활성화

○ 후속 과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연구 결과
- 영상 기반으로 이동 차량의 위치를 추정하는 기술은 차기연도 단위과제의 에어모빌리티 분야에서 AAM(Advanced Air Mobility) 비행영상 기반 지상 공간객체 인식과 위치정보 추정 기술로 확장될 것으로 예상됨
- 도시 디지털 트윈 모델 가시화 기술은 차기연도 단위과제의 디지털 트윈 기반 실-가상 연계 AAM 시뮬레이션과 관제 기술에 활용될 것으로 예상됨

□ 성과관리 및 활용계획
ㅇ 성과관리 현황
- (데이터 수집 방안) ETRI 내 설치된 테스트베드의 CCTV, 블랙박스 영상 데이터를 수집 후 ETRI 12동 연구실 내 설치된 NVR(Network Video Recorder) 장치 및 멀티모달 센싱 데이터 저장관리 서버에 저장함
- (데이터 관리 방안) NVR 장치 및 멀티모달 센싱 데이터 저장관리 서버로 관리되는 영상 데이터 내 개인식별 가능한 검출 및 분석된 이동체 데이터는 개인정보 비식별화를 수행하고, 고유한 ID 값으로 저장 및 관리함
ㅇ 성과활용 계획
- (혁신적 기술 개발로 연구 주도권 선점) 기존 정적 도시공간정보 활용 중심에서 수많은 이동객체를 연결한 정적 및 동적객체 정보를 활용하여 도시현상을 재현하고 분석하는 기술은 기존 기술과 차별화된 혁신적 연구개발 분야이며, 도시공간 지능화 분야의 시장을 주도할 수 있는 기술 선도자로 자리매김이 가능
- (도시문제 원인분석 활용) 대규모 복잡한 네트워크로 구성된 도시환경의 객체간 상호작용·인과관계 분석과 이해를 통해 교통, 환경, 전염병 등 복잡한 도시문제의 발생 원인과 과정을 분석하는 핵심기술로 활용
- (도시지능화 기술주도권 확보) 향후 개발될 자율형 도시관제운영 등 도시지능화에 필요한 핵심기술의 확보로 스마트시티, 교통분야 등 관련 분야의 기술 주도권을 확보

□ 향후 과제 수행계획
ㅇ 2024년 통합과제 예정으로 다음 연도 이후 연구개발계획은 별도 문서로 작성

(출처 : 요약문 2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