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Knowledge Sharing Plaform

KOREAN
기술이전 검색
Year ~ Transaction Count Keyword

Detail

Real-time driving habits and driving information analysis technology

Manager
Hyunsuk Kim
Participants
Oh Cheon Kwon, Kim Woojin, Jungsook Kim, Hyunsuk Kim, Yoon Daesub, Lee In Hwan, Jo Jung Hee
Transaction Count
1
Year
2020
Project Code
15MC1100, Development of Implementation Technology for SMART Post, Jung Hoon
14MC1100, Development of Implementation Technology for SMART Post, Jung Hoon
08MC3100, VDMS(Vehicle&Driver Management System) Technology Development, Hyunsuk Kim
- GPS가 내장된 차량 단말기를 이용하여 운전자들의 주행상황 정보를 수집하고 안전운전습관 및 운행정보를 분석하여 조회 가능한 화면을 제공하는 기술이다.
- 운전자의 이동경로 정보, 속도, 급가속/급감속 유무, 주행거리, 주행시간 등을 분석하여 운전자의 운전습관정보를 분석하고 조회할 수 있는 기능으로 구성되어 있다.
- 현대인은 출퇴근 뿐만 아니라 많은 일정을 차량을 운전하여 이동하고 있으며, 상시적으로 사고 위험성에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운전자 위험상황을 파악하고 사고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안전운전습관 분석 및 제공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 또, 물류 차량이나 렌터카 회사등에서는 회사 차량을 이용하는 운전자들의 운전성향과 운행정보를 관리하여 사고 위험 요소를 사전에 파악하고 이를 통해 잠재적인 사고를 감소시킬수 있는 차량 운행정보 관리 시스템 개발이 필요하다.
- 본 기술이전에서는 GPS 정보 수집, 차량 운행정보 수집 등을 통하여 단말에 누적된 정보를 분석하여 운전습관 및 운행정보 통계를 제공함으로써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B2B 및 B2B2C에 활용함을 목적으로 한다.
- 차량 운행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운전자에게 안전운전을 유도할 수 있는 운전습관정보를 제공하여, 이에 따라 운전자가 자신의 객관적인 운전정보를 인지할 수 있어 안전 운전을 유도하는 데 필요함
- 상용 차량에 적용할 경우 운전자 평가 자료나 효율적인 배차에 활용 가능하여 궁극적으로는 보험 처리 비용을 절감하는데 필요함
- 운전자의 운행정보(차량속도, 주행거리 등 차량 운행과 관계된 정보)를 관리함으로써, 사고 발생 원인을 분석하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음
- 자동차의 GPS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운전자의 이동경로 정보, 속도, 급가속/급감속 유무, 주행거리, 주행시간 등을 분석하여 운전자의 운전습관정보를 분석하고 제공해 줄 수 있는 기술임
- 자동차의 GPS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각 운전자의 운행상황정보 제공, 운전성향정보 제공, 안전지수정보 제공이 가능함
- 차량 운행상황정보에서는 이동거리(km)와 주행시간(분) 조회 가능
- 운전자 운전성향정보에서는 운전자의 운전패턴을 나타내는 정보로써 급가속 횟수(회), 급감속 횟수(회), 평균속도(km/h), 최대속도(km/h), 안전지수(점) 값 조회 가능
- 안전지수정보에서는 운전자의 운행성향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된 수치로써 운전자가 어느 정도 안전하게 운전하는지를 점수로 조회 가능 (예: 0~ 100점). 본 시스템에서는 안전지수 수치가 낮을수록 운전상태가 안전함을 의미함
- 로그인 기능
- 운전자 기본정보 설정
- GPS 정보 수집 및 저장 기능
- 출발/도착시간 분석 기능
- 운행시간, 운행거리 분석 기능
- 평균속도, 최대속도 분석 기능
- 급가속/급가속 분석 기능
- 안전지수 분석 기능
- 안전운전습관 조회 기능
- 운전성향정보 생성, 저장, 조회
- 운행이력정보 생성, 저장, 조회
- 기술 문서
- 소스 코드
- 특허
- 적용분야: 
. 상용 차량 회사의 운전자 안전운전 측정 및 제공 서비스 분야에 활용가능
. 이륜차 안전운전 측정 및 제공 서비스 분야에 활용될 수 있으며, 특별히 우체국에 종사하는 집배원들에게 적용하기에 적합함
. 렌터카 회사 차량을 이용하는 고객의 운전성향 및 이동상황 관리에 활용가능
. 개인 운전자의 안전 운전 습관 분석 및 차량 관리에 활용가능

- 기대효과 :
. 집배원 이륜차를 포함하는 다양한 차량에 응용 가능하고, 차량의 운행현황 조회, 개인의 운전성향 비교가 가능하고, 안전사고 요소 분석을 통한 집배원 등 운전자의 사고 예방 교육에 활용을 기대할 수 있음
. 물류, 렌터카 등 다양한 차량의 운행일지 자동생성 기능 개발에 활용/응용 가능
. 차량의 운행 정보, 차량관리 정보, 운행정보 및 운전 패턴(운행 시간, 운행 거리, 운행 구간, 운행 습관(과속, 급 감속/가속, 급출발/정지 등)) 등의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보험료를 차등 산정하여 보험 산업의 경쟁력 유도 및 안전 운전 유도 가능
. 운전자의 운전패턴, 운전 시간, 지역별 사고 정보 등을 종합하여 계산된 안전 운전 지수는 안전 운전 보조에 활용함으로써 교통사고율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기대
. 운전자의 차량 운행 습관(급감속/가속, 급출발/급정지, 공회전 및 과속 등)을 분석하여 연료 절감 운전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여 법인 차량이나 개인 운전자로 하여금 경제 운전 유도
. 운전자의 경제속도 준수, 정속 주행, 급가속, 공회전 등의 정보를 종합하여 운전 습관 개선에 활용함으로써 에너지 절약을 유도하고 환경 오염을 감소하는데 활용돨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