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Knowledge Sharing Plaform

KOREAN
연구보고서 검색
Type Funding Org. Research Org.
Year ~ Keyword

Detail

호남권 지역 산업 기반 ICT 융합 기술 고도화 지원 사업 (최종)
Download 1043 time
Participants
이길행, 박지원, 이아람, 김대길, 김상윤, 류지형, 손동훈, 손병희, 이형옥, 왕기철, 권원배, 김철원, 김에덴, 민기현, 이현용, 김정은, 조계술, 박상준, 강해청, 최이랑, 황유민, 정수용, 김재인, 김계은, 전은경, 권상진, 강은규, 박시웅, 윤기하, 김대선, 김거식, 여찬일, 김량수, 이준기, 손승철, 이동수, 윤광수, 오승훈, 김근용, 정순철, 박형준, 고석갑, 김희도, 유정희, 강현서, 이종진, 이병탁, 이세형, 이문섭, 윤심권, 허영순, 손익수, 유학, 김성창, 김낙우, 임권섭, 문대웅, 유홍연, 김영화
Published
202202
Type
Final Report
Keyword
에너지 지능화, 광무선 전송, 무인 이동체 지능화, 기업 지원, 광통신 모듈
KSP Keywords
ICT convergence, Support project
Funding Org.
한국전자통신연구원
Research Org.
한국전자통신연구원
DOI
10.22648/ETRI.2021.R.000363 
Project Code
21ZK1100, Honam region regional industry-based ICT convergence technology advancement support project, Lee Gil Haeng
Abstract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o 호남권 지역특화/전략산업 연계 ICT융합 지능화 솔루션 고도화 및 중소기업 지원 기능 강화
- ICT 융합기술, 광융합기술, 에너지 등 지역수요기반 특성화 R&D 사업 발굴및 기술 고도화
- 지역산업 연계 기술사업화 및 기업지원을 통한 기업 매출 기여 및 기술 경쟁력 제고

○ 1단계
□ 목표
o 호남권 지역특화/전략산업 연계 에너지신산업/광융합산업 ICT융합 지능화 솔루션핵심기술 개발 및 중소기업 활성화 지원
□ 내용
- 1ms 이내 저지연/실시간 네트워킹을 위한 인텔리전트 엣지형단말 플랫폼통합 연동 솔루션 개발
- 에너지IoT 마이크로서비스플랫폼 상용화 및 AUC 85%이상 이상탐지 AI엔진성능 고도화
- 2.3 기가급100m 전송극한환경하특수목적 광무선전송 핵심기술 개발
- 170개 채널 근적외선-가시광통합 초분광이미징 광학 시스템 개발 및 더마스코피기반 96.5% 진단 정확도의 피부진단보조 플랫폼 개발
- 8채널×56 Gbps급 적층형 광학엔진 플랫폼 개발
- 현장밀착형 기술교류, 신기술설명회, 애로기술지원, 광융합제품 특성 및 신뢰성 공인시험/장비 지원 등 중소기업 지원

○ 2단계
□ 목표
o 호남권 지역특화/전략산업연계 에너지/무인이동체/인공지능/광융합 등 ICT융합 지능화 솔루션기술 개발 및 중소기업 지원 기능 강화
□ 내용
- 에너지 절감률 40% 이상을 달성하는 엣지-서버 협력기반 무인자율 이동체 운용 핵심기술 개발
- 에너지설비 메타버스 AI플랫폼 상용화 및 RMSE 30 이하 예지관리 AI엔진 성능 고도화
- 90%이상 정확도를 갖는 AI기반 휴먼리소스디지털트윈및 만성질환 진단 기술 개발
- 5km 이상광무선네트워크 세비스제공을 위한 AI기반 릴레이형 AOWC(Adaptive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시스템 기술 개발
- 8채널×100Gbps급 임베디드 광모듈기술 개발
- 실증 테스트베드, 현장밀착형 기술교류, 신기술설명회, 애로기술지원, 기술지도/자문, 공인시험/장비
지원 등 중소기업 지원 기능 강화

□ 연구개발성과
ㅇ 과제 수행결과

2020년도 (성과)
정량
ㅇ(사업화)
• ㈜강한손 등 사업화 6건 및 매출실적 25.8억원
ㅇ(표준화)
• 에너지분야 사물인터넷 인터페이스
국가표준(KS) 우수후보 선정(‘20.12.)
ㅇ(기타)
• 지역수요기반 특성화 R&D 사업발굴: 11건
• 지역중소기업 지원활동 만족도: 93 %
• 지역수요연계 지자체/민간수탁확대: 18.95억 원
• 특허출원건수 대비 활용률: 40 %
• 신기술설명 및 기술교류 확산: 199명/7건
• 기술이전/출자 등 기술사업화: 11건(3.16억원)
• 지역수요연계 실증 테스트베드: 2건
• 기업지원을 통한 기업매출발생 효과: 189.3억원

정성
• 2020 스마트팩토리 워어드, 에너지관리솔루션부문 산업선도 대상 수상(`20.11,)

2021년도 (성과)
정량
ㅇ(사업화)
• (주)아이엠알 등 사업화 4건 및 매출실적 26.13억원
ㅇ(표준화)
• 에너지분야 사물인터넷 인터페이스
국가표준(KS) 제정(KS X 3280, ‘21.11) 외 1건
ㅇ(기타)
지역수요기반 특성화 R&D 사업발굴: 19건
• 지역중소기업 지원활동 만족도: 93.6 %
• 지역수요연계 지자체/민간수탁확대: 28.63억 원
• 특허출원건수 대비 활용률(누적): 53.8 %
• 신기술설명 및 기술교류 확산: 250/7건
• 기술이전/출자 등 기술사업화: 11건(5.15억원)
• 지역수요연계 실증 테스트베드: 2건
• 기업지원을 통한 기업매출발생 효과: 220.7억 원

정성
• 신문홍보: ‘마크베이스 ETRI와 설비예지보전 기술 위한 ’엣지AI’ 연구 협약 (2021.01.)등 11건
• 기술전시 5건 (AICONN광주 2021외 4건)
• 기술발표 4건, 기술홍보 책자 발간 2건

ㅇ 과제 수행 목표달성도
가. 과제 수행 목표달성도 (기술개발 성과지표)
나. 자율지표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효과
ㅇ 성과활용 계획
- 이동형 2기가급 광무선 전송 시스템은 세계 최초 구현 기술로 Data center, 5G/6G 무선통신 네트워크 프론트홀/백홀 솔루션 및 저궤도 위성 간 광무선 네트워크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견인
- 가시광-근적외선 대상체의 분광 특성을 분석할 수 있는 DMD 기반 초분광 이미징 시스템 개발로 고속 고감도 분광 분석을 통한 특수목적용 상태진단 및 진단보조 분야로의 확대와 해외시장 진출
- 에너지AIoT 자율관제솔루션을 기반으로 스마트 기저귀 솔루션, 공항 운송수단 관제 및 냉동차 운송관리 솔루션 등의 기업체 수요기반 융합 기술 개발 지원에 활용
- TGV 인터포저 기반 16채널 채널 다중화 기술과 광-전변환 대역폭 확대를 통해 채널당 112Gbps로 전송용량을 확장하여 800Gbps 및 1.6Tbps 등 테라비트급 광학엔진 플랫폼으로 확대 적용 예정

ㅇ 기대효과
과학적
• IEEE 802.1AS 표준기반 시각동기 MAC FPGA 기반 고정밀/고신뢰 실시간 통신기술 세계 최고 수준인 < 0.1us 정밀도 및 수용 필드버스 수 국내 최대 수준 (6종) 달성
• 세계 최고 수준의 이상부분 탐지 기술 개발(AUC>94%), 센서간 상관관계 기반 이상진단 기술 개발(AUC>89.4%)
• 이동형 2기가급 광무선 전송 시스템은 세계최초 구현
• 세계최고 수준의 60GHz이상 전기적 대역폭 성능을 갖는 On-board optics용 광학엔진 플랫폼 기술 확보
• SCI 논문 4편 게재, 국내/국제학술대회 39편 발표

기술적
• 'TGV 인터포저기반 400G급 광학엔진'에 대한 특허 확보로 세계 최고 수준의 광학 엔진 개발
• ‘무선 광통신 장치 및 이의 양방향 무선 광통신 방법’에 대한 세계 최초 구현기술 특허 확보
• 에너지 및 전력분야 사물인터넷 국가표준 확보 (KS X 3280:2021)
• 국제특허 6건 출원/3건 등록, 국내특허 14건 출원/5건 등록, 국가표준 1건 제정

경제적
• 근적외선-가시광통합 스캐닝방식 초분광이미징시스템의 국산화와 75% 저가격화 성과
• 에너지AIoT자율관제 솔루션 분야 8건(4.2억 원) 기술이전 및 4(31.7억 원)건의 기술 사업화 진행
•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구축 사업 관련 기술이전을 통한 기업 매출 19억 원 발생
• 광IoT 기반 지하공동구 모니터링 시스템 관련 기술이전을 통한 기업 매출 7.15억원 발생
• 국내 대기업/중소기업 기술이전 22건 실시 8.31억원

사회적
• 중소기업 지원활동 만족도: 93.6% (목표 93 %, 달성도 101 %) 달성
• ICT관련 중소기업의 지속적인 성장 지원을 위해 최신 기술동향 기술 전파 및 투자설명/상담 관련 신기술설명회 및 사업화 유망기술 설명회 등 개최 (14건)

(출처 : 요약문 3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