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Knowledge Sharing Plaform

KOREAN
연구보고서 검색
Type Funding Org. Research Org.
Year ~ Keyword

Detail

ETRI R&D 성과의 사업화 촉진 사업 (1차년도)
Download 2135 time
Participants
이해원, 김태홍, 유종준, 한기평, 박만식, 곽창수, 강점자, 송인택, 허성익, 박형준, 채미옥, 김영화, 백규하, 성낙선, 남명희, 이형섭, 김한나, 유지은, 황호영, 최희진, 윤수진, 김주석, 김은정, 정영근, 이형주, 김민기, 길운규, 지신애, 권우경, 권원배, 이아현, 강진아, 주무정, 박태웅, 최완, 김현빈, 박종문, 정하재, 김기호, 이재기, 김약연, 박종흥, 송인택, 조호길, 전영일, 윤태현, 조계술, 강해청, 정우성, 문희진, 박경철, 박정현, 여유주, 최지은, 최정현, 임예지, 조지형, 윤상필, 박재우, 박래만, 소운섭, 손경열, 전선심, 손영성, 이철욱, 박사종, 심용호, 정수용, 박웅, 정옥조, 박범수, 서홍석, 이재승, 황호영, 이정찬, 신동환, 김서균, 장인수, 전진우, 김호민, 최상혁, 권상진, 강은규, 김형주, 한억수, 서재현, 이인재, 한영탁, 최우용, 박소라, 신정혁, 정지성, 형창희, 김동호, 김건, 김대선, 송동훈, 안수용, 박호영, 홍기훈, 강동엽, 문권한, 장인성, 최범석, 오경석, 전형배, 김약연, 이병길, 배정숙, 장동필, 문영진, 박정우, 이재호, 김성복, 최지연, 이재연, 김현, 윤호섭, 손주찬, 조원석, 윤석진, 박중기, 문성모, 문장원, 정훈, 김종성, 방영조, 이동수, 박전규, 김동규, 유한영, 김해용, 오천인, 유대승, 한효녕, 이영하, 신진아, 노두환, 박재철, 강병옥, 김준우, 진은숙, 이종진, 강규민, 조영조, 주인학, 주인권, 이용수, 김진태, 이성주, 이일진, 김진경, 황정환, 황택진, 이문식, 손정보, 최용석, 배병준, 강현철, 이후성, 주인원, 이용훈, 황태인, 정찬복, 남현순, 한상필, 김가규, 김록원, 김법중, 박상길, 이동한, 방승재, 박기영, 김영호, 김기학, 조호길, 강세경, 최윤석, 허필선, 김익순, 천익재, 이송, 문대웅, 이광재
Published
202211
Type
Annual Report
Keyword
기술사업화, 성과 확산, 기술이전, 창업, 성장지원, Technology transfer, Startups, Scale-up
Funding Org.
한국전자통신연구원
Research Org.
한국전자통신연구원
DOI
10.22648/ETRI.2022.R.000014 
Project Code
22ZV1100, Promoting Commercialization of ETRI R&D Performance, Ho Young Park
Abstract
□ 과제수행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ETRI 연구성과의 발굴·활용·확산체계 혁신을 통한 연구성과의 산업계 확산 및 고성장 혁신기업 육성

◼ 1단계
❏ 목표
o 연구성과 활용·확산 체계의 혁신으로 ETRI 연구 결과물의 산업계 활용(기술이전·출자), 사업화 촉진을 통해 연구성과 활용기업의 혁신성장과 연구개발(R&D) 투자의 경제적 성과 창출
❏ 내용
o 연구성과 발굴·관리·활용 통합 운영체계 구축
o 연구성과 활용기업 사업화 성과 창출 지원체계 구축
o 연구성과 활용·확산 실행전략 강화 및 기술사업화 기반 조성

◼ 2단계
❏ 목표
o 연구성과 활용·확산 체계의 혁신으로 ETRI 연구 결과물의 산업계 활용(기술이전·출자), 사업화 촉진을 통해 연구성과 활용기업의 혁신성장과 연구개발(R&D) 투자의 경제적 성과 창출
❏ 내용
o 연구성과 발굴·관리·활용 통합 운영체계 구축
o 연구성과 활용기업 사업화 성과 창출 지원체계 구축
o 연구성과 활용·확산 실행전략 강화 및 기술사업화 기반 조성

◼ 당해 연도
❏ 목표
o 연구성과 활용·확산 체계의 혁신으로 ETRI 연구 결과물의 산업계 활용(기술이전·출자), 사업화 촉진을 통해 연구성과 활용기업의 혁신성장과 연구개발(R&D) 투자의 경제적 성과 창출
❏ 내용
o 연구성과 발굴·관리·활용 통합 운영체계 구축
• R&D 사업화 대상 기술 발굴·관리체계 구축 및 운영
- 사업화 대상 기술 발굴 모델 도출 및 체계(프로세스) 수립
- 주요 연구사업(R&D) 현황 분석 및 사업화 대상 기술 발굴
* R&R 5대 상위역할(초지능, 초성능, 초연결, 초실감, 국가지능화) 중심
- 연구 분야별 기술소개자료(SMK, Sales Material Kits) 제작·발간
* 온라인 채널(ETRI 기술사업화플랫폼), 협력 채널, 설명회를 활용한 성과확산 추진
- 사업화 대상 잠재기술(개발 예정 기술) 발굴 및 2022 기술예고 발간
• 시장·정책 연계 R&D 사업화 기획 및 운영
- 전략산업 분야 기술 포트폴리오 구축 및 목표 고객군 발굴·매칭(1건 시범 추진)
* 디지털·그린 뉴딜, 3대 신산업(바이오·헬스/시스템반도체/미래차) 등 범정부 집중육성산업(분야)
- 시장수요 및 연구성과 분석 기반 사업화 유망기술 발굴
• 연구성과 확산체계 구축 및 운영
- 연구성과 개방형 확산 채널 구축 및 협의체 운영
* 기술정보 개방 기반, 기술거래기관/외부플랫폼 활용 기술마케팅 추진
- 연구성과 활용 촉진 확산체계 기획 및 운영
* 전략산업 기술설명회, 사업화 유망기술 설명회, ETRI-중견·대기업 기술교류회 등
• ETRI CSS(Challenge-Start-Scale UP) 플랫폼 운영
- ETRI 창업아카데미 운영(창업 교육, 창업 아이디어 발굴(공모전) 및 고도화)
- 연구원 창업지원 프로그램 운영(예비창업 기획 및 발굴·보육·설립 지원)
- 연구소기업 수요발굴·기획 및 설립·성장지원 협력체계 운영(에트리홀딩스)
- E-유니콘 프로젝트(UP) 연구반 구성 및 운영
o 연구성과 활용·중소기업 사업화 성과 창출 지원체계 구축
• 기술상용화 컨설팅 지원체계 구축·운영
- 기술상용화 컨설팅 수행체계 구축
- 연구성과 활용·중소기업 대상 기술상용화 컨설팅
* 기술상용화 지원수요 발굴, 상담 및 내·외부 프로그램 연계 지원(잠재 기술수요 유망기업 포함)
• 연구인력 현장파견 프로그램 운영
- 연구인력 현장지원 수요기업 및 기업파견 연구인력 수요 발굴
- 기업-연구인력 매칭, 선정평가 및 기업 대상 연구인력 현장 파견(최대 3년)
• 연구성과 활용·중소기업 대상 기술상용화 지원
- 시험/장비/시제품제작 지원 및 외부기관 연계·협력 지원
* 연구장비공동활용센터 지원, 실증 제작 지원, ICT 테스트베드 지원, 기술상용화 지원인프라 환경개선 등
- 기술상용화 기술 상담 및 기술개발 지원(기술도우미 및 E-패밀리기업)
- 혁신성장기업 집중육성체계(E-케어 프로그램) 운영
• 기술상용화 지원성과 조사 및 홍보체계 운영
- 기술상용화 지원성과 조사·분석 및 지원 프로그램 개선
- 기술상용화 성공사례 및 지원 프로그램 대외 홍보(전시 참가 등)
o 연구성과 활용·확산 실행전략 강화 및 기술사업화 기반 조성
• ETRI 연구성과의 활용·확산 촉진 전략 연구 및 대정부 기술사업화 정책지원
- 시장-기술-정책 연계 사업화 이슈 발굴 및 사업화 분석보고서 발간
- 공공 연구성과 확산정책 지원·대응 및 기술사업화 정책협력 네트워크 운영
- ETRI 기술사업화 성과관리체계 고도화 및 우수성과 사례발굴·홍보체계 운영
• 연구개발(R&D)-기술사업화 연계 및 기술사업화 활성화 기반 조성
- ICT 기업 대상 기술개발·사업화 협력수요 조사(500개 중소·벤처·중견기업)
- 기술거래 활성화 시장 조성(특례상장 기술력 평가, 공공기술 기술가치평가 등)

□ 과제 수행과정 및 내용
ㅇ 과제 수행과정
- 핵심 요소(혁신성 및 독창성)
· 기존의 연구성과 활용·확산 활성화 및 중소기업 육성에 관한 연구는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니즈와 관계를 고려한 통합적 시각을 반영하지 못하고, 특정한 정책적 이슈나 수요 등 개별 기능·항목 중심의 단선적인 접근으로 한정된 자원(예산, 인력, 인프라) 하에서 투자의 비효율성 발생과 가시적인 사업화 성과의 창출이 부족
· 본 과제는 기술사업화 생태계를 기반으로 R&R에 따른 상위역할별 주요 연구성과의 활용 단계(양적 성과)와 사업화 성과 창출 단계(질적 성과) 간의 단절 없는 연계를 고려한 통합적인 관점에서 접근, 연구성과의 활용과 사회적·경제적 성과 창출 사이에 존재하는 여러 저해 요인(Gap) 제거를 위한 연구성과의 활용·확산 시스템 혁신전략을 추구
- 연구개발 방법(수행 접근)
· 공공 R&D성과의 기술이전·사업화는 기술과 산업·시장을 연계하는 기술혁신 전주기의 제반 활동으로 기술혁신 활동에 참여하는 주요 주체들의 연계·협력, 즉 시장 메커니즘을 기반으로 시장가치 창출과 연구성과의 산업계 확산이 가능
· 본 과제는 ETRI 연구성과의 활용·확산 및 기술상용화를 촉진하기 위해 기술사업화 생태계를 구성하는 정부(지자체), 중소·벤처·중견기업, 기술거래기관 및 기술금융기관 등 사업화 전문기관 등 다양한 사업화 유관기관과의 유기적인 협력체계를 기반으로 추진
① 연구성과 발굴·관리·활용 통합 운영체계 구축
② 연구성과 활용기업 사업화 성과 창출 지원체계 구축
③ 연구성과 활용·확산 실행전략 강화 및 기술사업화 기반 조성
ㅇ 과제 수행내용

□ 과제 수행결과 및 목표달성도
ㅇ 과제 수행결과
ㅇ 과제수행 목표 달성도
가. 과제수행 목표 달성도

□ 관련 분야에 대한 기여
ㅇ 관련 분야 과학적·기술적·경제적·사회적 기여
ㅇ 후속 과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연구 결과
- 기술사업화 원스톱 종합지원 허브 구축(융합기술연구생산센터)
⦁ 중소기업 기술사업화 지원부서·시설의 분산, 지원기관·협력공간의 부재 등 사업화 지원의 한계 극복을 위해 융합 기술연구생산센터 내 사업화 지원부서 이전, 외부 사업화 전문기관 유치, 협력·교류공간 확충
⦁ 기술·인력·인프라·컨설팅·투자 등 올인원(All-in-One) 지원이 가능한 기업밀착지원환경이 구축됨으로써 R&D결과물의 사업화 활성화 및 기업 성장의 핵심 파트너 역할 수행 가능
- 연구성과 활용기업 집중육성체계(E-케어 프로그램, E-유니콘 프로젝트)
⦁ 기업수요에 수동적으로 반응하는 흩뿌리기식 지원으로 혁신성장기업 육성의 체감성과 창출 및 사업화지원성과 창출에 극명한 한계가 존재
⦁ 활용 연구성과의 상용화 가능성을 사전에 검증, 성장유망기업을 선정, 내·외부 자원을 우선·집중하는 프로그램 구축으로 유니콘 기업 등 시장 혁신성과 창출 중심의 목적지향형 지원이 가능

□ 성과관리 및 활용계획
ㅇ 성과관리 현황
- (데이터 생산 및 관리) 기업의 정보 이용 동의 절차를 거쳐 연구개발(R&D) 및 사업화 협력수요 조사를 통해 기업 데이터(기업 경영정보, R&D/사업화 수요 데이터, 요구사항) 수집(유형: 수치/텍스트, 포맷: 엑셀)
- (연구데이터 저장 및 보존) 이음서비스(드라이브)에 조사 결과에 대한 프로젝트 생성 후 데이터 저장·백업
- (데이터 공동 활용) 신규 연구개발 사업기획 및 사업화 수요(성과활용·상용화지원) 발굴에의 활용을 위해 기획본부 및 중소기업사업화본부에 제한적으로 공개
ㅇ 성과 활용계획
- 국가·지역 전략산업(DNA, Big 3, 소·부·장, 탄소중립 등) 기반의 전략형 연구성과 확산체계 구축·운영으로 과학기술정책 목표 구현 및 중소·중견기업 디지털 전환 대응 신성장 기회 제공
- 기업가정신, 창업 방법, BM 개발 등 창업 교육을 통한 원내 창업문화 확산으로 연구원 기술창업 저변 확대 및 창업자 육성 모델의 지속적인 혁신에 활용
- 사업화 유망기업 집중육성체계 운영(E-케어 프로그램, 창업·출자기업 스케일업 지원)으로 혁신성·성장성 높은 중소기업 육성 및 시장 역동성 제고를 통한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사업화 사례 창출
- 사업화 대상 연구결과물에 대한 실증 및 시험지원 체계 구축으로 기업 이전기술의 상용화 성공률 제고 및 제품·서비스화를 통한 기업의 혁신성장을 도모
- 신속하고 효율적인 연구성과 활용·확산 체계 구축으로 연구성과의 폭넓은 활용과 연구성과 활용기업의 기업 혁신 성장 실현을 통해 연구성과 기반의 사회·경제적 가치 창출 실현에 기여
- 사업화 성과 제고 전략 수립 및 시장중심 사업화 시스템 운영으로 조직 전반의 사업화 실행능력 제고 및 고객가치 중심의 조직문화 구축에 기여

□ 향후 과제 수행계획
ㅇ 향후 연구개발(‘23~’26) 계획
1)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2) 연구개발 추진전략
o 본 과제는 기술사업화 생태계를 기반으로 연구성과의 활용 단계(양적 성과)와 사업화 성과 창출 단계(질적 성과) 간의 단절 없는 연계를 고려한 통합적인 관점에서 접근, 연구성과의 활용과 사회적·경제적 성과 창출 사이에 존재하는 여러 저해요인(Gap) 제거를 위한 연구성과의 활용·확산 시스템 혁신전략을 추구
- 연구개발로 창출된 연구성과의 폭넓은 활용을 위해 사업화 대상기술 발굴·관리체계를 강화하고, 기술 사업화 대상 기술이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산업계로 제공되도록 확산체계를 구축
- 정부의 과학기술정책 목표가 사업화를 통해 구현되도록, 연구성과 활용전략의 다변화를 통해 경제·사회적 가치실현을 도모하는 연구성과의 활용·확산 추진
- 중소·중견기업의 연구성과 활용이 사업화 성과로 이어지도록 연구성과 활용-상용화 지원의 연계 체계 구축 및 능동적인 기술상용화 지원 강화
o 이를 실행하기 위해 기술사업화 관련 활동을 기능적으로 통합·연계하여 3단계의 구조(연구성과의 발굴 → 연구성과의 활용 → 연구성과 활용기업의 기술상용화 지원)로 재편하여 추진
3) 연구개발 일정 및 기대 성과
4) 다음 단계 연구개발비 사용계획
o 비목별 연구개발비(천원)
o 연구목적별 연구개발비

(출처 : 요약문 2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