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Knowledge Sharing Plaform

KOREAN
연구보고서 검색
Type Funding Org. Research Org.
Year ~ Keyword

Detail

ICT 창의 기술 개발 (3차년도)
Download 1098 time
Participants
정상돈, 김상훈, 임인기, 박민, 변경진, 배영환, 박상호, 김진하, 조진철, 김나희, 강유성, 김용한, 이의수, 이서영, 안신모, 최경선, 김갑중, 김무건, 김미현, 김국주, 박민아, 이성현, 신준환, 최광문, 박동우, 오광일, 성희경, 김정수, 이진호, 윤소연, 이찬미, 김호성, 김선미, 김수정, 최다혜, 박초현, 이재희, 이재영, 황성민, 금대명, 김영훈, 김정연, 남은수, 윤호경, 전인산, 양우석, 정용덕, 박성모, 박필재, 이석호, 이명래, 김덕준, 김영호, 이일민, 최수경, 박강호, 안준태, 한태만, 홍성훈, 고영호, 한영탁, 한원석, 백용순, 서동우, 박정우, 심재식, 임정욱, 김현수, 신장욱, 김혁, 구본태, 장준영, 박경현, 신아현, 변춘원, 오진혁, 박미정, 제창한, 김기수, 민병규, 박종혁, 엄용성, 최광성, 이성규, 이종민, 강성원, 양종헌, 강만구, 김동철, 김성은, 조성우, 김지은, 이왕주, 김종회, 주지호, 조대형, 이재진, 강태욱, 신진욱, 김용희, 허영미, 백주희, 이동효, 박재규
Published
202211
Type
Annual Report
Keyword
이종 접합, 메타 물질, 테라헤르츠, 뉴로모픽, Heterogeneous integration, Meta material, Terahertz, Neuromorphic
KSP Keywords
Creative technology
Funding Org.
한국전자통신연구원
Research Org.
한국전자통신연구원
DOI
10.22648/ETRI.2022.R.000001 
Project Code
22ZB1100, Development of Creative Technology for ICT, Baek Yongsoon
Abstract
과제수행 목표 및 내용
최종 목표
[광전집적 원천기술개발]
- 고온 동작용 III-V on Si 광원 기술개발
- 광소자(PIC) 및 전자소자(EIC)의 3D 이종/광전 집적 기술개발
- 데이터센터용 3D 광전집적 광송신기 기술개발
- 서브파장 능동메타물질 기반 초소형 광집적소자 원천기술 개발
- 테라헤르츠 reflectometry 시스템 개발
[뉴로모픽 디코더-인코더 원천기술 연구개발]
- SNN 기반 뉴로모픽 신경신호 디코딩-인코딩 인터페이스 원천기술 확보
- 생물학적 뉴런·시냅스 기반 SNN-NPU 시뮬레이터, FPGA, 그리고 프로토타입 칩 개발
- 뇌-뉴로모픽 양방향 인터페이스 시스템 구현
- 뉴로모픽 감각신호 디코딩-인코딩 연구
- CMOS 호환 3-단자 뉴로모픽 시냅스·뉴런 어레이 원천기술 개발

1단계
목표
[광전집적 원천기술개발]
- III-V on Si 성장 기반 고온 동작 광원 소자 개발
- 50GHz급 광전집적 모듈 개발
- 광전집적용 40GHz급 전자소자 개발
- 서브파장 능동 메타물질 기반 초고집적 광소자/광부품 개발
- 집적형 테라헤르츠 핵심 모듈 개발
[뉴로모픽 디코더-인코더 원천기술 연구개발]
- 고집적 능동형 생체신호 검출 어레이 기술 개발
- 지능형 생체신호처리 듀얼코어 프로세서 및 생체통신 채널모델 고도화 기술 개발
- 신경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플랫폼 2.0 요소기술 개발
- 생물학적 뉴런·시냅스 모델 기반 SNN-NPU 시뮬레이터 개발
- 고 신뢰성 신경전극 어레이 제작 기술 개발
- 촉각자극-단일 신경선유 발화 신호 DB 구축
- 이중-게이트 정련층 구조 전기·광 시냅스 소자 개발
내용
[광전집적 원천기술개발]
• III-V on Si 성장 기반 고온 동작 광원 소자 개발
- III-V on Si 광원 소자용 에피 구조 성장 최적화 개발 (결함밀도: 7x10-6cm-2)
- 85℃ 동작 2mW급 1.3μm 파장대역 III-V on Si 광원 소자 개발
• 50GHz급 광전집적 모듈 개발
- 50GHz 대역폭 Analog IC/Interposer 패키징 기술 개발
- 고속 동작 광송수신 소자 기반 기술 개발
- 열전도도 7W/m·K급 계면접착소재 및 레이저 기반 동시 전사 접합 공정 구현 (일괄 공정 디바이스 수: 10개)
• 광전집적용 40GHz급 전자소자 개발
- 40GHz급 대역폭 광변조기 드라이버 설계
- 40GHz급 광변조기 드라이버 제작 및 측정 (최대이득: 10dB, 최대출력: 1.5Vpp)
• 서브파장 능동 메타물질 기반 초소형 광집적소자 원천기술 개발
- In-Plane 메타물질 기반 초소형 광필터 및 능동형 광변조기 설계 (4μm 이하 크기, 소광비 10dB 이상)
- In-Plane 메타물질 기반 능동형 1x2 광스위치 설계
- 주기 1/5λ 이하 초고집적 메타물질 제조 공정 기술 개발
• 테라헤르츠 reflectometry 시스템 개발
- 테라헤르츠 reflectometry 시스템 설계 및 데이터 처리 기술 개발
- 테라헤르츠 태그 형성 및 테라헤르츠 영상획득 기술 (처리시간: < 2초, 해상도: < 1.5mm, 주파수: > 400GHz, 데이터용량 : 32 bit/cm2)
[뉴로모픽 디코더-인코더 원천기술 연구개발]
• 능동형 생체신호 검출 및 자극 프론트엔드 복합 어레이 기술 및 생체 검사 /치료용 NEMS 공진기/초소형 엑스선 튜브 기술 개발
- 프론트엔드 구동소자 어레이를 위한 고유연 기판 구조 및 TFT 소자 기술
- 능동형 생체신호 검출 및 자극 프론트엔드 복합 어레이 구현을 위한 픽셀 구조 및 집적 공정 기술
- 수동형 생체신호 프론트엔드 복합 어레이 시스템 집적화 및 생체환경에서의 신뢰성 개선 기술
- 인체이식형 연속혈당 측정 NEMS 공진기 모듈 개발
- 초고밀도 전계방출 전자원 및 초소형 생체검사/근접치료용 엑스선 튜브 및 모듈 제작기술 개발
- 고 신뢰성 대뇌피질 이식용 신경전극 어레이 제작 기술 개발
• 생체신호 처리/전송 통합 프로토타입 개발 및 디바이스 플랫폼 1.0 응용시제품 적용 시험
- 생체신호처리 NZV 프로세서 칩 성능 검증시험
- 생체신호처리 테스트벤치 및 SW API 개발
- 생체신호 처리/전송 통합 프로토타입 개발 및 시험
- 임플란터블 디바이스 플랫폼1.0 응용시제품 적용 시험
• 디바이스 플랫폼 1.0 제작 및 동물적용 신경 인터페이스 구현
- 신경신호 감지 및 자극 집적 회로 칩
- 신경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플랫폼 1.0 회로 통합 제작
- 디바이스 플랫폼 1.0 활용 동물적용 신경 인터페이스 구현
• SNN 기반 뉴로모픽 프로세서 기술 개발
- 생물학적 뉴런/시냅스 모델 기반 SNN-NPU 시뮬레이터 개발
- 생물학적 아날로그 뉴런/시냅스 단위 회로 개발
- 생물학적 아날로그 뉴런/시냅스를 위한 전원/바이어스 회로 설계
- 생물학적 뉴런 모델 FPGA 프로토타입 하드웨어 설계
- 생물학적 뉴런 모델 검증용 FPGA 프로토타입 보드 개발
• 뇌-뉴로모픽 양방향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
- 화소 내 신호 증폭 가능한 능동형 전극 구조 개발
- In vitro 실험을 위한 저온-생체적합 패키징 기술
- 고해상도 복합 어레이용 TFT 미세 피치 공정 기술
- 고 신뢰성 신경전극 어레이 기술 개발
• 감각신호 디코딩-인코딩 연구
- 영장류 운동대뇌피질(motor cortex) 신경활동 신호 획득
- 쥐 두렁신경(Saphenous nerve) 단일 신경섬유 발화 신호 획득
- 촉각 자극-감각신경 반응 모델링
- 신경신호 감지자극 연산처리용 디바이스
- 양방향 신경인터페이스 및 폐-루프 제어
• 뉴로모픽 시냅스 뉴런 연구
- 이중-게이트 절연 층 구조 시냅스 소자 연구
- 이중-게이트 절연 층 구조 광 시냅스 소자 연구
- 하부 게이트용 투명전극 식각 기술
- Flash cell 기반 시냅스 소자 연구
- ALD 산화물 기반 뉴런 소자 연구

2단계
목표
[광전집적 원천기술개발]
- 100℃ 고온동작 10mW 1.3um III-V on Si 양자점 레이저
- 3D 이종/광전 집적 기반 100Gbaud 광송신 모듈 개발기술개발
- In-Plane 서브파장 능동 메타물질 기반 초고집적 광소자/광부품 기술 개발
- 테라헤르츠 reflectometry 시스템 및 태그 영상획득 기술 고도화
[뉴로모픽 디코더-인코더 원천기술 연구개발]
- 생물학적 뉴런 및 시냅스 기반 SNN-NPU FPGA, 프로토타입 칩 개발
- in vitro & in vivo 양방향 수동 및 능동 뇌-뉴로모픽 디코딩-인코딩 플랫폼 개발
- SNN 기반 뇌-감각신경 디코딩 연구
- STDP 학습 기능을 가지는 CMOS 호환 3-단자 멤리스터 어레이 개발
내용
[광전집적 원천기술개발]
• 100℃ 고온동작 10mW 1.3um III-V on Si 양자점 레이저
- 고온/고출력 동작을 위한 양자 구조 최적화
- 100℃ 동작 10mW급 1.3μm 파장대역 III-V on Si 광원 소자 개발
• 3D 이종/광전 집적 기반 100Gbaud 광송신 모듈 개발기술개발
- 60GHz급 대역폭 광변조기 드라이버 성능개선
- 3D 광전집적 모듈에 적용
- 80GHz 대역폭 인터포저 기반 이종/광전 집적 연결 기술 개발
- InP/SiN 이종 집적 광소자의 포토닉 와이어본딩 기술 최적화
- 열전도도 11W/m.K급 계면접착소재 개발
- 레이저 기반 동시 전사 접합 공정 구현(일괄 공정 디바이스 수: 30개)
- SiN 도파로 ECL 및 PC(Polarization Coupler) 구조 개발
- SiN 플랫폼 기반 NRZ 및 코히어런트 광 송신 모듈 개발
- 대역폭 60GHz급 변조기 개발
- 100GBaud 이종/광전 집적 광송신 모듈 시제품 제작 (4채널 NRZ / 2채널 IQ 변조기 적용)
• In-Plane 서브파장 능동 메타물질 기반 초고집적 광소자/광부품 기술 개발
- In-Plane 메타물질 기반 초소형 광필터 개발 (2μm 이하크기, 삽입손실 1dB 이하)
- In-Plane 메타물질 기반 능동형 광변조기 개발 (4μm 이하크기, 삽입손실 1dB 이하, 소광비 10dB 이상)
- 1/10λ 이하 주기 초고집적 메타물질 제조 공정 기술 개발
• 테라헤르츠 reflectometry 시스템 및 태그 영상획득 기술 고도화
- 테라헤르츠 reflectometry 시스템 고도화 (분해능: 100㎛)
- 테라헤르츠 편광 주파수 제어 기반 태그 영상획득 기술 (처리시간: < 1초, 해상도: < 1mm, 주파수: > 500GHz, 데이터용량: 128 bit/cm2)
[뉴로모픽 디코더-인코더 원천기술 연구개발]
• SNN 기반 뉴로모픽 프로세서 기술 개발
- 생물학적 뉴런/시냅스 모델을 지원하는 SNN-NPU 시뮬레이터 고도화
- 생물학적 기능 탑재 아날로그 단위 뉴런/시냅스 회로를 연결한 통합회로 설계
- 고정소수점 모델 기반 SNN-NPU FPGA 프로토타입 아키텍처 개발 및 하드웨어 설계
- 생물학적 뉴런과 시냅스 어레이로 구성된 SNN-NPU 프로토타입 칩 개발
• 뇌-뉴로모픽 양방향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
- 스파이크 검출 기능 in vivo OLED 수동 복합 어레이 기술 개발
- 스파이크 검출 기능 in vitro OLED 능동 복합 어레이 기술 개발
- OLED 광원을 포함하는 in vitro 3-D MEA 구현
- in vitro 및 in vivo 신경전극의 신뢰성(독성 및 기록과 자극 내구성) 확보
- 금 나노다공성 구조 최적화를 통한 임피던스 및 자극 성능 향상
• 감각신호 디코딩-인코딩 연구
- 복합자극-다발신경 반응 DB 구축
- 감각피질신호-말초신경신호 연관성 확보
- 정적/동적 기계적 촉각 자극-신경신호 모델링
- 실시간 스파이크 분류 기술 개발
• 뉴로모픽 시냅스 뉴런 연구
- 이중-게이트 절연층 구조 시냅스 선형성 및 상태 수 향상
- 이중-게이트 절연층 구조 3-단자 뉴로모픽 시냅스 모델링
- 이중-게이트 절연층 구조 3-단자 뉴로모픽 시냅스 어레이 (32X32) 제작
- 이중-게이트 절연층 구조 3-단자 뉴로모픽 시냅스 어레이 MNIST 테스트

당해연도
목표
[광전집적 원천기술개발]
- III-V on Si 기반 5mW급 고온 동작 광원 소자 개발
- 60GHz급 인터포저 기반 3D 이종/광전 집적 기술 개발
- SiN 플랫폼 기반 고속 광송신 모듈 개발
- 광전집적 IC용 60GHz급 전자소자 개발
- In-Plane 메타 물질 기반 초소형 광소자 설계 및 제작 기술 확보
- 테라헤르츠 reflectometry 시스템 및 태그 영상획득 기술 고도화
[뉴로모픽 디코더-인코더 원천기술개발]
- 다중모드 고정소수점 뉴런∙시냅스 모델 기반 SNN-NPU FPGA 프로토타입 개발
- in vitro 신경-뉴로모픽 양방향 인터페이스 플랫폼 구축
- 복합 촉각 자극-말초 및 대뇌감각피질 반응신호 DB 구축
- CMOS 호환 시냅스 성능향상 및 어레이 개발
- in vivo 플렉시블 신경전극 자극성능 향상 및 이식 신뢰성 검증
내용
[광전집적 원천기술개발]
- 85℃ 동작 5mW급 1.3μm 파장대역 III-V on Si 광원 소자 개발
- 박막 전사 기술을 이용한 실리폰 기판에 III-V 광소자 에피 형성 기술 개발
- 60GHz 대역폭 인터포저 기반 광소자(PIC) 및 전자소자(EIC)의 3D 이종/광전 집적 기술 개발
- InP/SiN 이종 집적 광소자의 포토닉 와이어본딩 기술 개발
- 100Gbaud급 광송신 모듈 설계 및 패키징 기술 연구
- 60GHz급 광변조기 드라이버 제작 및 측정 (최대이득: 8dB, 최대출력: 1.5Vpp)
- 메타물질 기반 초소형 광필터 설계, 제작 및 특성평가 (3μm 이하크기, 삽입손실 3dB 이하)
- 메타물질 기반 초소형 저손실 광스위치 개발 (4μm 이하크기, 삽입손실 3dB 이하, 소광비 10dB 이상)
- 1/7 λ 이하 주기 초고집적 광메타물질 제조 공정 기술 개발
- 테라헤르츠 reflectometry 시스템 구성 및 성능 평가 (분해능: 200㎛)
- 테라헤르츠 다중 주파수 제어 기반 태그 영상획득 기술 (처리시간: < 1.5초, 해상도: < 1.2mm, 주파수: > 500GHz, 데이터용량: 64 bit/cm2)
[뉴로모픽 디코더-인코더 원천기술개발]
- 생물학적 뉴런∙시냅스 모델을 지원하는 SNN-NPU 시뮬레이터 고도화
- 아날로그 뉴런·시냅스 및 스파이크 통신 인터페이스 통합 아키텍처 회로 설계 및 시뮬레이션 검증
- 고정소수점 뉴런∙시냅스 모델 기반 SNN-NPU FPGA 프로토타입 개발
- 단일 스파이크 수준의 해상도를 가지는 OLED 복합 전극 어레이 개발
- 능동 복합 어레이의 주파수 응답 속도 향상 및 잡음 성능 향상
- in vivo 및 in vitro 겸용 64XN 채널 양방향 인터페이스 S℃ 시스템 설계
- in vitro 및 in vivo 신경전극의 저 임피던스 및 고 전하주입 효율 전극 기술을 적용한 신경신호 감도 및 자극 효율 향상
- in vitro 및 in vivo 신경전극의 독성 및 이식 내구성 검증
- 다채널 촉각 자극-말초 신경 및 대퇴감각피질 반응신호 DB 구축
- 다차원 파라미터 모델링을 통한 감각신경(fast adapting, slow adapting) 디코딩 (≥3단계)
- 감각 신경 및 체성감각 신호 실시간 연산처리 및 시각화 기술
- 3단자 뉴로모픽 시냅스 전기적 및 구동 특성 향상
- 3단자 뉴로모픽 시냅스 어레이 제작
- 3단자 멤리스터 어레이 학습 검증 시스템 구축 및 평가

과제 수행과정 및 내용
ㅇ 과제 수행과정
ㅇ 과제 수행내용
• 광전 집적 원천기술의 기반기술 확보를 목표로, 고온 동작 III-V on Si 양자 레이저 제작, 60GHz급 광전집적 모듈 개발, 서브파장 능동메타물질 기발 초고집적 광소자/광부품 개발 및 집적형 테라헤르츠 핵심 모듈 개발을 통하여 60GHz급 이종 소자 간 3D 광전집적 기술 확보에 집중
• 최종목표인 고집적 4/8채널 100 Gbaud 코히어런트 광송신 모듈 구현에 필요한 분야별 설계 및 공정 기술 확보 및 향후 추진 방법의 구체안 도출
• SNN 기반 뉴로모픽 프로세서 기술개발의 최종목표는 뇌-뉴로모픽 디코딩-인코딩플랫폼에 최적화 된 SNN-NPU 프로토타입 칩 개발임
• 이를 위해 1단계에서는 생물학적 뉴럴 네트워크를 모사할 수 있는 뉴런 및 시냅스 모델 개발 및 이를 적용한 SNN-NPU 상위수준 시뮬레이터를 개발함
• 2단계에서는 1단계에서 개발한 SNN-NPU 시뮬레이터에 생물학적 뉴런, 시냅스 모델 라이브러리 확장 및 SNN 네트워크 모델링 기술을 추가하여 시뮬레이터 고도화 기술을 개발하고, Hodgkin-Huxley 뉴런 및 화학적 시냅스 모델을 통합한 FPGA 프로토타입 개발 및 Sub-1.0V 동작 초저전력 아날로그-디지털 Mixed SNN-NPU 칩을 개발함

과제 수행결과 및 목표달성도
ㅇ 과제 수행결과
ㅇ 과제 수행 목표달성도
가. 과제 수행 목표달성도 (기술개발 성과지표)
나. 공통지표

관련 분야에 대한 기여
ㅇ 관련 분야 과학적·기술적·경제적·사회적 기여
과학적
• 실리콘 기판 상에 III-V 화합물 반도체 박막 형성 기반 기술 확보
-SCI 2편, 국내학술대회 3편 발표
• 상변화물질 기반 능동메타물질을 이용하여 선명한 색상을 가지며 습도에 따라 색상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는 컬러 필터 원천기술 확보
- 상위 10% SCI 논문 1편
기술적
• 국내 최초, 세계 2번째 단일모드 기반 Silica WG의 포토닉와이어본딩 광결합 손실 0.87 dB 확보
• 상변화 물질 기반 서브파장격자 메타구조를 광소자에 적용하여 3.6um급 초소형 능동 광필터 (소광비 10 dB 이상) 기술을 개발함. 광집적소자의 집적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원천기술을 개발
• 역설계 기반 상변화 물질 기반 메타구조를 광소자에 적용하여 2um급 초소형 능동 광스위치 (소광비 9 dB이상) 기술을 개발
• 기존 공정의 낮은 수율과 Rework 불가 문제를 해결하여 대량의 광소자 패키징 및 마이크로 LED 등 다양한 칩 전사 공정에 활용. 기술 가치 평가 현재 기술이전 추진 중
• THz Reflectometry 이미지 획득 기술:키징 기술의 flip chip bonding 공정 불량 분석, 마이크로 LED전사 기술의 불량 분석 등에 활용. 반도체 칩 패키징 기술의 안정성과 신뢰성 향상 등에 활용 가능
• 테라헤르츠 고속 태깅 기술:연속파 및 고속 폴리곤 스캐너를 활용하여 태깅 시스템을 구현, 상용화 가능성 높음
• 이온채널 기반 이진로그 Hodgkin-Huxley 뉴런 RTL 설계 및 전기적 시냅스가 연결된 SNN-NPU FPGA 프로토타입 개발
• 플렉시블 광자극-기록 복합 어레이 개발을 통해 광유전학 분야의 자극 접근성을 향상하여 뇌 기능 이해 및 학습 연구 등 분야에 기여 가능성 높음
• 광 접착-광 패턴 동시 passivation 기술, 펨토 초 레이저 가공, 금-불소고분자 접착력 향상 기술, 나노다공성 금 구조체 형성 기술이 집약된 in vivo 신경전극 구현 및 3.2-3.6 nC/펄스 수준으로 뇌 해마 학습이 가능함을 실험적으로 확인
• CMOS 공정과 호환가능하기 때문에 기존 CMOS 뉴런 등과의 집적에 유리, 2000 이상 상태수와 높은 가중치 선형성 달성
경제적
• 마이크로 LED 동시 전사 접합 기술
- 대형 기술 이전 추진 중
- 장관상 2건,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선정
ㅇ 후속 과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연구 결과
- 실리콘 기판 상에 InP 박막 전사 기술은 향후 맴브래인 레이저 등에 활용 되어 실리콘 포토닉스 광원 개발에 활용
- 이종 물질 접합 기술 및 포토닉 와이어 본딩 기술은 향후 실리콘 포토닉스 연구에 활용 가능
- 메타 물질을 활용한 초소형 광소자 개발 기술은 향후 고집적 광소자 연구에 활용 가능
- 테라 reflectometry 시스템은 박막의 코팅 두께나 균일도 분석, 선박 또는 차량의 페인트 코팅 분석 등에 활용
- 생물학적인 뉴런과 시냅스의 동작을 충실히 모사할 수 있는 SNN 기술과 새로운 멤리스터/뉴리스터 소자 기술을 접목 시킴으로써 기존의 딥 러닝 기술과 artificial neural network 기술보다 훨씬 생물학적으로 유사한 신경모사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응용
- ‘감각운동 신경인터페이스 디바이스 플랫폼’을 다양한 동물 실험을 위한 실험용 연구 플랫폼 구축하여 뇌 연구의 허브역할

성과관리 및 활용계획
ㅇ 성과관리 현황
- (데이터 생산 및 관리) 소재 소자 모듈 제작과정 전자현미경, SEM, TEM, XRD, PL, XRF, Raman 분석 등의 분석 장비를 통한 데이터 수집하거나,in vitro 및 in vivo 신경전극어레이와 기록시스템을 이용한 신경활동 및 감각 신호 수집
- (연구데이터 저장 및 보존) 실험중 생성되는 데이터는 측정 장비 PC 내 원본 연구 데이터 저장하고, 수행 단계별로 생성된 연구 데이터를 기술문서 형태로 연구관리 시스템에 등록, 생성된 데이터를 백업
- (데이터 공동활용) 학회 및 학술지를 통한 선별적 공개 및 기업지원 활용을 위한 관련 기관에게 제한적 공개
ㅇ 성과활용 계획

향후 과제 수행계획
ㅇ 다음 연도 연구개발계획
1)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2) 국내외 분야 환경변화
· CMOS 소자 집적형 멤리스터 어레이 제작 및 평가 (1K 이상)
· 멤리스터 어레이 검증 시스템을 이용한 추론 검증 (MNIST 인식률 > 90%)
· MCU/FPGA 등을 이용하여 32x32 시냅스어레이의 STDP 학습 가능성 검증
· 산화물 및 플래시메모리 기반 시냅스 어레이 학습/추론 성능 향상
3) 연구개발 추진전략
- ICT 창의연구소 내 3개 부서(광무선원천연구본부, 미래원천연구본부, 소재원천연구본부) 간 협력을 통해 이종접합 광전 집적 원천기술을 확보
- 이종접합 광전소자/모듈 개발은 광무선원천연구본부, 메타물질을 이용한 초소형 광소자 개발은 미래원천연구본부에서 연구하고, 이종물질 접합과 검사를 위한 원천기술은 미래기술연구본부에서 수행
- 2단계에서는 개발된 원천기술을 검증하기 위한 100Gbaud 광송신모듈 제작하고, 또한, 관련 원천·기반 기술 확보를 통한 지속적인 응용 분야 발굴로 신규 사업 창출
- ICT 창의연구소의 관련 전문연구실과 인공지능연구소의 초경량지능형반도체연구실과의 협력을 통하여 뉴로모픽 프로세서 설계 연구, 생물학적 뉴런네트워크와 SNN 기반 뉴로모픽 프로세서 양방향 인터페이스 연구, 뉴로모픽 운동-감각 연구, 그리고 뉴로모픽 시냅스 소자 원천기술 개발
- 생물학적 수준의 연구와 동물 실험 등은 KAIST와 Univ. Washington 등과의 대외 협력을 통해 수행
- 한국 뇌 연구원(KBRI), KIST, 그리고 학계 뇌 과학자들의 자문과 전문가 세미나 등을 통한 소통으로 뇌 연구 이해 증진 도모
4) 연구개발 일정 및 기대 성과
- 기대성과
5) 다음 연도 연구개발비 사용계획

(출처 : 요약문 2p)